중소기업 기술경쟁력 개발력보다 취약

국내 중소기업의 기술개발능력 및 제품화 능력은 대체로 양호한 반면 경영실적, 재무, 산업재산권 보유 등 기술경쟁력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중기청은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총 1천9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술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278개 기업을 기술경쟁력 우수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번 평가참여 전체 중소기업의 평균 기술경쟁력 수준은 1천점 만점에 650.32점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생산기반 분야(688.53) 및 생명과학(675.50), 전기전자(667.36) 분야의 기술경쟁력은 높은 수준을 나타낸 반면 토목건축(584.24) 및 섬유(603.62) 분야는 낮은 것으로 평가됐다.

기업규모별로는 201인이상 기업이 753.70으로 가장 높았으며 51∼200인 기업이 713.61, 21∼50인 기업이 656.41로 평균점수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나 인력 및 장비를 갖춘 규모있는 기업일수록 기술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경기도(687.42), 대전·충남(675.88), 부산·울산지역(674.45) 업체의 기술경영 수준이 비교적 높았으며 제주지역(439.22)은 매우 낮았다.

우수기업에 대해서는 한국은행의 총액한도대출, 경영안정자금 및 지방중소기업 육성자금, 기술개발사업화 자금 등 지원시 우대되며 병역지정업체 가점이 부여된다.

또 산학연공동기술개발사업, 기술지도, 해외인증 등 중기청의 기술지원사업에서도 우선 지원되며 업체별로 테크노닥터를 지정, 기술현황 및 필요사항을 수시로 파악해 지원한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