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4년부터 시작된 인천시의 핵심 시책인 송도 신도시 사업이 사업추진 6년이 지나도록 정부 지원은 물론, 기업 및 투자 유치·종합적인 마스터 플랜 확정 등이 지지 부진, 사업 성공여부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이같은 송도 신도시 사업에 대한 문제점과 과제는 22일 인천발전연구원 주최로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송도 신도시 조성사업 활성화를 위한 행·재정적 지원방안’ 정책포럼을 통해 제시됐다.
이날 인천발전연구원은 “중앙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유도가 필요하다” 면서 “송도 지식정보화 산업단지를 국가 산업단지로 지정하기 위한 행·재·정 다방면에 걸친 노력이 필요하다” 고 밝혔다.
또 기반시설 정비에만 최소 3천억원 규모의 재원이 필요한 것과 관련, “재원조달 문제의 조기해결에 진력해야 한다” 며 “단지의 조기 조성완료가 선결 과제” 라고 지적했다.
특히 인천발전연구원은 “거시적이며 종합적인 마스터 플랜의 확립 및 차질없는 수행이 필요하다”며 아직까지 마스터 플랜에 따른 부분적 실천계획이 수립돼 있지 않은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때문에 인천발전연구원은 부지 무상공여 또는 분양가 할인, 지방세 감면 또는 감면, 보조금 지급, 외국인 투자 촉진을 위한 조세감면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인천발전연구원은 “단순한 분양률 제고나 사업비의 조기 회수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라며 “토지를 저가로 공급받은 입주 업체가 부지를 장기간 나대지로 방치하면 단지 집적에 따른 긍정적 파급효과를 낳지 못하므로 입주업체의 사업계획서를 제출받고 시행여부에 따라 할인율을 차등 적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