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천혜(天惠)를 타고났다. 우리가 많은 예산을 들여가며 하수종말처리장을 늘리고 오폐수의 수질기준을 강화하는 것은 강과 바다의 오염을 막아 우리에게 주어진 천혜를 누리고 이를 후손에게 물려주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도 경기도내 일부 지자체가 하수종말처리장의 슬러지(침전물)를 수백톤에서 수만톤씩 서해에 버려온 것은 국민들의 공분을 살 일이다. 더욱이 내년부터 김포매립지 반입이 금지됨에 따라 경기도와 일선 시군이 도내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생기는 상당량의 슬러지를 바다에 버리기로 대책을 세웠다니 한심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경기도는 내년부터 도내 45개 하수처리장에서 발생하는 연간 30만400만t의 슬러지 중 12만3천t을 오는 6월 마련할 5개의 소각장에서 처리할 계획이나, 재활용 등으로 처리하고 남은 12만t은 서해에 버리기로 대책을 세웠다고 한다. 하수슬러지는 오폐수 처리과정에서 침전되는 황화합물과 각종 중금속이 함유된 농축 오염물질이다. 서해안과 갯벌을 황폐화시킬 것이 뻔한 이같은 오염물질을 소각장이 부족하다고 해서 바다에 버리기로 한 것을 당국이 대책이랍시고 세웠으니 기가 찰 일이다.
물론 당국은 하수슬러지 해양투기지점이 서해의 공해상이기 때문에 갯벌과 해안선과는 상당한 거리에 있고 바다의 자정능력으로 연안을 오염시킬 위험은 없다고 할지 모른다. 그러나 인천해역등 서해안 일대 해수와 갯벌은 산업폐수와 생활하수로 이미 오염될대로 오염돼 자정능력까지 상실한 상태라는 것이 해양전문가들의 우려섞인 지적이다.
또 얼마전 중국의 사회과학연구팀이 한반도 서해와 맞닿은 황해가 썩어가고 있다고 스스로 밝혔듯이, 인근 국가해역의 오염확대가 결국 바다의 자정능력을 떨어뜨리지 않을까 우려되는 상황이다. 해양투기를 하더라도 밀봉용기에 담아 침전투기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에도 불구하고 당국이 농축오염물질을 바다에 뿌리듯 버리는 것은 해양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무모한 일이다. 지하자원이 빈약한 우리에겐 바다는 우리의
미래가 걸린 마지막 삶의 터전이다. 당국은 이제라도 서해안을 황폐화시킬 위험한 대책보다는 바다를 살리는 적극적인 자세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