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해야 하는 봄

봄은 ‘생명의 계절’로 불리지만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하지 않으면 건강을 잃기 쉬운 계절이다.

고혈압과 심장병, 호흡기질환 등 만성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가장 많이 사망하는 계절도 역시 봄이다.

봄철에 건강을 잃게되는 가장 큰 원인은 기온 변화에 따른 갑작스런 생체리듬의 변화를 들 수 있다.

급격한 생체리듬 변화로 나타나는 증상이 바로 ‘춘곤증’이다. 춘곤증은 낮이 길어지고 일교차가 커지는 계절변화에 몸이 빨리 적응하지 못해 발생한다.

이런 환경변화에 따라 우리 몸은 체온보호를 위해 피부와 근육, 혈관의 수축 및 이완활동과 심장박동 등을 활발하게 하게되며 이에따라 힘든 일을 하지 않아도 몸에서 소비되는 에너지가 많아지면서 식욕이 떨어지고 잠을 자도 피로감이 없어지지 않으며 계속 졸음이 쏟아지는 춘곤증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런 신체 부담으로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심장병 등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병이 더 깊어지고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대표적인 봄철 불청객 중 하나는 호흡기 질환이다.

감기는 겨울에 많은 것으로 알기 쉽지만 실제로는 봄이나 가을같은 환절기에 더많다. 감기가 단순히 추운 날씨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니라 기온 변화와 신체의 저항력 저하가 더 큰 원인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꽃이 피기 시작하면 꽃가루 등에 의한 알레르기성 비염이나 천식 등도 기승을 부린다.

봄철에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평소 알고 있는 건강관리 상식을 실하는 것이 중요하다.

춘곤증이나 만성질환의 악화, 호흡기 질환 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해 가능한한 외부환경 변화의 영향을 덜 받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하루 7-8시간 정도씩 충분한 수면을 취해 만성피로감을 막고 과음이나 흡연 등 피로회복을 저해하는 행위도 삼가는 것이 좋다.

식생활도 중요하다. 아침을 거르는 것은 무기력한 오전과 오후 식곤증으로 이어지게 되므로 간단하게라도 아침식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침은 생선·두부·채소 등이 포함된 것이 좋고 점심은 가능한한 과식을 하지않아야 하며 저녁은 잡곡밥과 봄나물 등 봄철 채소와 신선한 과일을 많이 섭취하는 식단을 마련하는 것이 좋다.

몸을 펴고 늘려주는 이완체조, 산책, 등산 등 가벼운 운동은 봄철 피로감을 방지하는 훌륭한 방법이지만 의욕만 앞세워 무리한 계획으로 운동을 시작하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체력에 맞는 적절한 운동을 한다.

/이연섭기자 y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