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지식기반산업이 고용창출 주도

지식기반서비스업과 지식기반제조업 등 지식기반산업이 앞으로의 고용창출을 주도할 전망이다.

직업별로도 컴퓨터 프로그래머와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및 분석가가 각각 1, 2위를 차지하는 등 앞으로 5년간 고용증가 예상 20대 직업중 지식기반산업이 13개(65%)나 차지했다.

20일 한국노동연구원의 ‘한국 지식기반산업의 인력수급 실태와 수요 전망’에 따르면 앞으로 5년간 고용증가율이 가장 높은 산업은 지식기반서비스업(11.6%)이었으며 지식기반제조업(9.4%), 일반서비스업(8.0%), 일반제조업(3.3%) 순이었다.

지식집약도별 서비스업중에서는 하이테크서비스업이 16.9%로 가장 높았고 기타 지식기반서비스업(10.1%), 기타 서비스업(8.2%), SOC 관련 서비스업(7.2%) 등으로 나타났다.

지식집약도별 제조업의 경우 하이테크제조업이 10.5%로 가장 높았고 기타 지식기반제조업(8.1%), 중화학공업(5.1%), 노동집약적 제조업(1.4%)이 그 뒤를 이었다.

향후 5년간 고용증가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 직업(10인이상 사용근로자 기준 1만2천798명)은 컴퓨터 프로그래머로 38.3%의 증가율이 예상됐으며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및 분석가(35.6%)가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10월 현재 지식기반산업 취업자는 450만명으로 농·임·광업을 제외한 전체 취업자 1천777만명의 25.3%에 달했다.

이 가운데 지식기반서비스업 종사자는 352만명으로 지식기반제조업 97만명보다 3.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