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양만 매립 환경영향평가 형식적

<속보> 남양만 일대 대규모 해안매립공사로 어족 산란장이 사라질 위기에 놓인 가운데 (본지 26일자 1면) 환경영향평가가 산란시기를 피해 실시되고 철새도래지의 피해우려 등은 평가 항목에서 아예 제외된 것으로 밝혀졌다.

26일 남양만 일대 어민들과 LNG평택생산기지 3차확장공사 환경영향평가서에 따르면 한국가스공사는 기지확장을 위한 25만평 규모의 해안 매립과 관련한 환경영향평가를 대우엔지니어링에 의뢰, 부경대 해양과학연구소 등과 협력해 해양생태계 조사를 벌였다.

이에따라 대우엔지니어링은 지난 97년 10월27∼31,12월4∼10일 두차례에 걸쳐 철새도래지의 피해항목은 제외한채 해양동식물에 미치는 영향, 해양 수질 오염도 등 15개 항목에 대해 조사를 벌여 지난 98년 9월 한국가스공사에 환경영향평가 초안보고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어민들은 어족수를 줄일 의도로 환경영향평가 조사시점을 어족량이 감소하고 산란기를 피한 가을철과 겨울철에 실시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남양호 앞바다에 살고있는 고가의 실뱀장어, 꽃게,숭어,도다리 등 어족들은 3월부터 6월사이 산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대해 어민들은 남양만 일대 매립을 저지할 태세를 보이고 있으며 도내 환경단체들도 실사조사에 나서기로 하는 등 강력 반발하고 있다.

경기환경운동연합 안명균 사무총장은 “환경영향평가를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사계절 조사를 벌여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가스공사 관계자는 “환경영향평가서의 결과를 토대로 매립공사를 준비했다”며 “가스공사가 의뢰를 했지만 항목설정 등은 잘 모른다”고 말했다.

/홍성수기자 ssho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