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평택시의 제3토지 구획정리사업에 대한 의혹이 강하게 제기된 가운데 이에 얽힌 후문이 좀처럼 가시질 않고 있다.
김선기 평택시장의 사과 해프닝은 그 대표적인 사례로 지역사회의 입방아감이 되고있다. 문제의 토지구획정리 사업에 대한 경기도 감사내용이 본보에 단독보도(5일자 1면)된 직후 김시장이 간부회의 자리에서 엉뚱한 화풀이를 한 것이 발단이 됐다.
“시의회 의장이 기자에게 정보를 유출시켰다”는 요지의 말을 한 것이 화근이 돼 최학수 시의회의장으로부터 세찬 항의를 받은 김시장은 다시 간부회의 석상에서 “나에게 말을 전한 사람이 잘못 전한 것”이라고 정정발언을 주지(周知)시켰다.
그러나 최의장으로부터 정정발언에 대한 이의로 재차 사과를 요구받은 김시장은 지난 12일 세번째 간부회의를 주재하면서 “내가 잘못 알고 말을 실수한 것이니 오해 없기 바란다”며 비로소 정식 사과를 했다.
이같은 경위를 기자에게 전한 것은 물론 평택시 간부다. 하지만 평택지역사회에서는 알만한 이들은 벌써 다 알고 있다.
한 유지는 “토지구획정리사업에 잘못이 있으면 시정하는데 힘써야지 ‘누구때문에 신문에 났다’며 엉뚱한 공인을 들먹이는게 시장의 올바른 자세라고 보긴 어렵다”며 혀를 찼다.
“관리는 모름지기 거리낌이 없기위해서는 대도를 가야 한다”고 했다. 공자의 말이다. 신문에 보도된 경위나 이리저리 추측하면서 생사람 잡는 것이 대도라 할 수는 없을것같다.
김시장 측근은 알려진 내용이 시장본의와는 좀 다르다는 식으로 해명하고 있다. 하지만 그렇게 알려진 책임이 본인에게 없다할 수 없는데 문제가 있지않는가 하고 생각해본다.
/평택=이수영기자 <제2사회부> sylee@kgib.co.kr 제2사회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