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회 전통문화 연구세미나

제19회 전통문화 연구세미나가 한국유네스코 경기도협회의 주최로 20일 도 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렸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경기대 사학과 최홍규교수의 ‘정조의 對 화성 수리정책과 둔전 경영’에 대한 주제발표에 이어, 경기문화재단 강진갑 전문위원이 ‘새천년 청소년 의상 왜 생활한복이어야 하는가?’라는 주제로 발표에 나서 눈길을 모았다.

강전문위원은 최근 청소년들의 교복에 대한 변화요구가 나타나고 있는 점에 대해 “청소년 문화는 자신의 개성을 최대한 나타내기 위해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며 “그러나 우리의 교복은 이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이유를 들었다.

그는 이어 청소년들이 생활한복 교복에 대해 점차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느 사례로 지난해 말과 올해 초 인터넷 여론조사에서 나타난 ‘학생교복을 생활한복으로 채택하는 것’대해 찬성이 각각 59.5%에서 67.45%로 높아진 것을 꼽았다. 그는 또 지난 1983년 교복자율화 폐지 이후 학교장의 재량에 따라 다시 교복을 입는 학교가 전체의 98%에 이르고 있지만 양장 교복 중심의 획일성은 벗어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생활한복 교복 착용 실태에 대해 그는 “1998년 진주 삼현여고가 처음으로 생활한복을 교복으로 채택한 이후 화성 두레자연고등학교 등 현재 전국적으로 6개교가 한복 교복을 입는 등 점차 확산되고 있다”며 “한복 교복을 입는 학생들의 대부분이 만족한다는 반응”이라고 말했다.

특히 그는 생활한복 교복의 장점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청소년들의 신체에 맞도록 디자인된 구조 ▲생활의 편리함 ▲양복 교복보다 저렴한 가격 등을 들었다.

마지막으로 강전문위원은 생활한복 교복 착용의 의의로 ‘생활한복을 통한 전통문화와의 자연스러운 만남’‘안정적인 정서 제공’‘새로운 도시 이미지 창출’등을 들고 생활한복 교복의 채택을 적극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경기문화재단이 ‘생활한복을 중·고등학교 교복으로 입히기 운동’의 일환으로 펼친 생활한복 패션쇼에서 생활한복도 디자인하기에 따라 활동적이고 패션감각이 뛰어나고 청소년들에게 어울리는 옷이 될 수 있음이 확인된 바 있다.

특히 경기문화재단은 생활한복을 교복으로 채택하고자 하는 학교에 대해 채택과정에 필요한 프로그램의 소요 경비 일부를 지원하고 제반 자문을 해주고 있다.

/신현상기자 hsshin@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