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비상관리체계 허점투성이

지난 20일부터 계속된 의료계 폐업이 국민의 생명을 실질적으로 위협하는 비상 상태였는데도 불구, 인천시의 비상관리 체계는 상황 정보 제공의 신속성·정확성·적극성에서 허점을 드러내 이에대한 보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시는 의료계 폐업을 하루 앞둔 지난 19일 공공보건 의료기관 및 보건소에 24시간 진료체제를 유지토록 지시하는등 비상 상황에 돌입했다.

시는 인천의료원과 중앙병원, 적십자병원 등 3개 공공 의료기관과 10개 구·군 보건소 및 21개 보건지소 등에 24시간 진료 체계를 유지토록 지시했다.

또 시와 구·군 관련 부서에도 만약의 사태에 대비, 24시간 근무토록 지시했다.

그러나 의료계 폐업이 시작되면서 진료장소에 대한 정보 제공의 신속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드러냈다.

실제로 일부 보건소가 소아과 진료를 하지 않았으나 이같은 사실을 제대로 알려주지 않아 환자를 안고 온 부모가 다른 병원을 급히 찾아가는 불편을 겪었다.

또 진료를 실시했던 일부 병원의 응급실도 의사들의 피로가 누적, 한계에 이르자 군 의무대가 일반 진료에 나섰으나 시가 이를 제때 알려주지 못해 시민들이 치료받을 권리를 소홀히 하게 됐다.

더욱이 시가 시민들에게 정보를 준다며 시 인터넷 홈페이지에 올린 인천지역 의료기관 진료상황도 진료과목이나 외래환자 접수 등에서 부정확해 시민들에게 오히려 혼란만을 줬다.

시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외래환자를 받는 것으로 소개된 병원이 실제로는 치과환자 치료만 하고 있어 시 정보를 믿고 내·외과 응급환자가 찾아갔을 경우, 치료 시기를 놓칠 위험에 노출될 수 있었다.

이밖에도 폐업에서 진료로 돌아선 동네 의원들에 대한 정보 제공에도 소극적으로 일관, 시민들은 어떤 의원에 가야할 지 직접 찾아 다니지 않고서는 알 수 없었으며 진료를 재개한 의원 숫자 파악도 반나절씩이나 늦게 집계되는 등 국민 생명을 담보로 벌이진 실제 비상체계 상황이 곳곳에서 구멍을 드러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