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전문건설사 자금난 가중 개선 시급

경기도내 전문건설업체들이 일선 지자체가 발주하는 관급공사 도급시 소화해야 하는 지방채의 소화율이 높은데다 거치기간이 길어 수년간 건설경기 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문업계의 자금난을 가중시켜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도내 전문건설업계에 따르면 지역개발기금의 재원조성을 위한 경기도 지역개발기금설치 조례 제2769호에 의거 전문건설업체들은 관급공사 낙찰시 공사대금 청구액의 2.5%를 5년 거치후 일시상환으로 소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 98년 1만2천650건 3천600억원의 공사를 수주한데 이어 지난해에도 1만7천600건 3천550억원의 공사를 도급 받았으나 연평균 89억3천700만원의 지방채를 소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문에 실적통계업체가 2천개사임을 감안할 때 업체당 연평균 450만원의 지방채를 소화, 5년동안 거치하는 지방채소화 총액은 업체당 2천250만원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건설업계는 신용대출을 통한 운전자금 조달이 유일한 수단임에도 불구, 적지않은 자금을 지방채 소화로 지출하고 있어 금융권의 신용도 요인인 예금축적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호소하고 있다.

특히 최근 수년간 건설경기 침체가 심각한데다 자금난은 악화일로에 있어 지방채 소화조건을 공사대금 청구액의 1.5%로 인하하고 거치기간도 3년으로 단축시켜아 한다는 지적이다.

이와관련 전문건설업계 관계자는 “대부분이 영세한 전문업체들은 금융권에서 구속성 예금을 활용해 운전자금을 대출받는 실정인데다 IMF체제 이후 공사물량이 급감해 최악의 자금난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고 “물품의 구매, 수리, 제조계약의 경우와 같이 대금청구액의 1.5%로 인하하고 거치기간도 단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