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30%씩 증가하는 인천항과 중국과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를 위해 관세자유지역으로 지정될 인천항을 대 중국물류기지로 육성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또 우리나라 주요 항만과 중국 해양을 하나의 권역으로 설정한 ‘환황해 해운망’구축도 시급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같은 인천항 발전과제는 11일 인천종합문화예술회관에서 열린 제4회 동북아 포럼에서 제시됐다.
‘인천과 중국 항만과의 컨테이너 교역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열린 이날 포럼에서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임종관 연구위원은 “인천과 중국 항만간 해상교역에서 연간 200만TEU를 처리하기 위해선 인천항 관세자유지역을 글로벌기업들의 대 중국물류기지로 육성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히고 “글로벌 150대 기업군에 속하는 기업들을 적극 유치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임 위원은 인천과 중국과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95년 4만661TEU에서 96년 6만7천820, 97년 8만2천427, 99년 11만5천55TEU로 증가하는 등 연평균 29.7% 상승하고 있다며 “인천항에서 중국으로 연결되는 해상항로를 보다 다양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인천발전연구원 박창호 연구위원도 “인천∼중국간 정기 컨테이너 항로 개설문제는 단순히 인천항의 발전을 위한 것이 아니라 국가 전체의 대 중국 수출입화물의 물류비 절감으로 인한 국제 경쟁력 확보 차원에서 중요한 사안”이라며 “2∼3개의 중국 항만과 인천·광양·부산 항만들을 조합, 3개 항만을 순항하는 ‘황해권 해운망(항로 네트워크)’을 형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를위해 인천항 포트 세일즈 전략과 인천항 배후지 마케팅 계획 수립을 제안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