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왜 이러나?

도내 기초자치단체의 관심에 차별이 있을 순 없다. 사실적으로는 다같은 광역사회며 법률적으로는 다같이 수평관계다. 이런 가운데 수원시에 바라는 것이 있다면 수부도시로서 지방자치의 시범이 돼주었으면 하는 것이다. 이러함에도 이상한 연수에 대해 논평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된 것은 심히 유감이다. 이미 시행한 1천50명의 공무원 연수가 ‘자치능력 향상과 행정쇄신’명분에 과연 얼마나 합치된 결과를 냈는가 하는것은 지역사회의 의문이다. 1박2일의 일정과 연수프로그램 내용 또한 궁금하다. 공무원의 연수는 물론 인정한다. 하지만 준비, 입안, 평가가 객관화 됐다고 보기 어려운 실시가 직무수행능력 및 정신교육에 투자효과만큼 도움이 됐다고는 믿기지 않는다. 공무원의 제주도 산업시찰은 더욱 당치않다.

시공무원들에 대한 연수가 이러한터에 민간인 600명을 대상으로 한 연수는 정말 이해할 수 없다. 통·반장, 바르게살기협의회, 새마을부녀회, 새마을문고, 주민자치센터위원등이 대상이었다. 수많은 이들 가운데 연수대상으로 600명을 임의 선정한 기준 또한 무엇인지 잘 알 수 없다. 공무원과 같은 1박2일의 연수목적 역시 불분명하다. 시정홍보는 불특정 다수의 시민을 대상으로 해야 순수하다. 시가 일방적으로 선정한 특정인들에 대한 홍보 행사는 선심성이 짙다. 특히 예산을 투입해가며 추진한 특혜성 행사여서는 차기 선거포석이라는 말을 듣기쉽다. 실제로 지역사회 일각에서는 그런 우려의 소리가 나오고 있다.

시가 이같은 연수를 위해 무려 2억원을 투입한것은 주민 납세로 부담하는 자치비용을 알뜰하게 썼다고 볼 수가 없다. 지방재정법이 요구하는 건전재정운영의 기본원칙에 어긋난다. 감사원감사에 의해 잇따라 지적되고 있는 지방재정의 방만한 운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번 행사는 시기적으로도 적절치 않다. 불경기에 겹친 대기업의 부도로 협력사등이 도산 직전에 처해 지역경제가 IMF때 못지않게 암울한 실정이다. 수원시 정도면 나름대로 지역경제를 걱정하는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데도 아직 그런 말을 듣지 못했다. 이런판에 수백명의 민간인까지 동원, 이해못할 행사를 끝까지 강행했다. 지역사회가 이를 도덕적으로 용인할 것인지 궁금하다. 공무원의 사기앙양은 췌언이 불요한 당면과제 이긴하나 거창한 행사성 연수이야만 가능한 것이 아니다. 잘못하면 오히려 저항을 유발하기 십상이다. 평소의 전문교육과 공정한 근무성적평정 및 인사의 투명성이 병행돼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