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출신의 중요무형문화재 제79호 발탈 예능보유자 고 운학 이동안선생의 예술업적을 기리고 전통 춤사위를 전승·발전시키기 위한 춤판이 19일 오후 4시 도문예회관 소공연장에서 열린다.
우리 전통예술계의 큰 기둥이었던 이동안선생은 발탈 뿐만 아니라 태평무, 진쇠무, 신칼대신무 등 다양한 기예로써 우리나라는 물론 멀리 만주까지 명성을 떨친 빼어난 예인이다. 특히 우리문화가 천대받고 홀대받던 시절 재인청의 마지막 도대방으로 우리의 춤을 보존시키고자 노력을 아끼지 않은 운학선생의 춤사랑은 남달랐다고 한다.
운학선생의 춤은 서민들의 삶과 정서를 있는 그대로 솔직하게 고백한 것이 많았는데 조선조 마지막 광대로 알려진 선생의 춤 세계는 얼마전 작고한 경기도무형문화재 제8호 옥당 정경파선생을 비롯, 여러 제자들에게 전수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번 공연에서는 승전무, 검무, 기본무, 무녀도, 살풀이, 오고무, 승무, 신칼대신무등과 ‘뜬쇠’의 판굿을 선보이는데 특히 승전무는 의상이나 동작·음악·소품에 이르기까지 옛 모습 그대로를 무대에 올리려 심혈을 기울였다고 한다.
또 프로그램도 전통무용이 자칫 지루해 질 수 있음을 고려해 검무와 오고무 등을 사이사이에 넣어 구성하는 배려도 잊지 않았다.
무엇보다 이번 운학·옥당선생 추모공연 무대에 박경현·이선영·고성주·원명숙·손송자·고희자·손부성·심용섭·이덕순 등 거의 모든 이수자가 참여, 더욱 의미있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운학 이동안선생 전통무용 보존회 대표 박경현씨는 “정경파 선생이 병석에 계실 때 “내가 죽더라도 우리 아버지(운학) 추모공연은 꼭 해달라”하시던 말씀이 유언이 된 만큼 정말 열심히 하려 한다”고 말했다.
/강경묵기자 k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