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은 현 경제를 어떻게 진단하고 있을까.IMF위기후 대통령직에 오른 김 대통령은 국정 초반 외환위기 정책에 모든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나 3년도 안돼 제2의 IMF가 오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올 정도로 경제가 악화되고 있고 한나라당은 이에 대한 책임을 추궁하고 있고 당정개편까지 흘러나오고 있는 상태다.
김대중 대통령은 1일 경기도청에서 임창렬 경기지사로 부터 업무보고를 받고 지역인사들과 오찬을 함께 하는 자리에서 경제의 어려움을 솔직히 인정하며 경제를 회생시키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통령은 우선 이날 업무보고에서 “지금 경제가 어렵지만 과거 외환위기때와는 다르다”면서 “어려운 것은 여건이지만 대응하는 정부의 정책은 그때에 비해 훨씬 안정돼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김 대통령은 오찬에서도 “우리 경제가 나쁜데 대해 대통령으로서 송구하게 생각한다”면서 “첫째 책임은 정부에게 있으며 공공부문 개혁을 못한데 대해 국민에게 미안하다”고 거듭 국민들에게 사과했다.
김 대통령은 특히 “공기업 가운데 (개혁에 대한) 회의에 빠져 개혁을 안하는 기업들이 있으며 이것이 국제신인도를 떨어뜨리고 주가하락의 원인이 되고 있다”면서 “노동조합도 구조조정에 저항하고 있고 한전 노조에서는 암흑세계를 만들겠다고 하는 등 저항이 있다”며 개혁이행 과정의 고충을 털어놨다.
김 대통령은 그러나 국민들에게 “너무 겁내지 말라”며 “너무 겁을 내니 경제가 더 나빠진다”고 지적하고 “경제는 심리적 측면이 있으며 정부는 4대개혁을 반드시 성공시킬 것”이라고 다짐했다.
특히 김 대통령은 농가 부채 및 농산물 가격 하락에 대해서도 언급, “농민들이 배추와 무를 그대로 갈아버리는 것을 TV를 통해 보고 나도 농민출신으로서 안타깝다”며 “농민들 가운데 간혹보면 전자상거래로 농산물을 직접 유통하는 것을 본 일이있는데 훨씬 효율적”이라고 권장하기도 했다.
이와 관련, 김 대통령을 수행한 이기호 경제수석은 “농가부채에 대해 대통령은 특단의 5가지 대책을 구상해 금명간 당정협의를 거쳐 구체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라며 ▲농업경영개선 자금 1조원 신규 마련 ▲정책자금의 5년 분할 상환 ▲빚보증으로 고통받는 농민을 위해 저리자금 지원 ▲상호금융 6.5% 저리 융자 등의 방안을 설명했다.
한광옥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에 앞서 이날 월례조회에서 “대통령의 외국방문에 대한 정치적 시비는 온당치 않다”면서 “지금 세계는 통신망의 발달로 지도자가 세계 어디에 가 있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정책과 자세가 긴요한 것이며 대통령은 어느곳에 나가 있어도 노심초사 국내문제에 전념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유제원·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