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그동안 소극적이던 항만 관리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중국 노선신설을 건의하는 등 항만공사제 도입을 앞두고 적극적인 행정에 나섰다.
13일 시에 따르면 인천항 기능 활성화와 관련된 3개안을 마련, 해양수산부에 건의했다.
시는 이번 건의에서 인천∼중국간 컨테이너 노선 신설, 평택항 항비 면제추진 철회, 접안 및 하역시설 확충 등을 요구했다.
시는 건의 배경과 관련, 한∼중 컨테이너 노선 신설로 물류비 절감을 통한 수출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특정 항만의 항비면제는 자율경쟁과 공정성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또 대북 경협과 중국시장 공략을 위해선 인천국제공항과 긴밀히 연계된 항만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시는 연평균 24.5% 이상 증가하고 있는 대중국 교역량과 함께 수도권지역의 컨테이너 물동량이 급증하고 있는데도 중국 컨테이너 노선이 없어 연간 750억원의 물류비용이 낭비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정부차원의 적극적 지원을 요청했다.
이와함께 시는 1개 계로 운영되고 있는 공항항만팀을 확대 개편키로 하고 항만·공항·물류업무를 취급하는 분산된 기능을 하나로 묶어 ‘항만·공항·물류진흥관’ 조직을 신설키로 했다.
이같은 시의 항만 정책강화는 인천항이 인천지역에서 21%의 고용효과를 갖고 있으며 32%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항의 물동량 감소 등 침체된 항만 기능의 활성화가 매우 시급하다”면서 “이번 정부 건의는 지역경제인들의 입장을 대폭 반영한 것”이라고 말했다.
/유규열기자 newfeel4@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