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불후의 명작

국내 영화 배급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시네마 서비스가 올해 첫 프로젝트로 제작한 ‘불후의 명작’은 지극히 옛 정서에 기대어 ‘사람만이 희망’이라고 말한다

‘초인’이 등장하거나 아니면 인간은 온데간데 없고 넘쳐나는 특수효과와 물량공세로만 무장한 요즘 주류 영화들에 아예 작정하고 반기를 든 셈. 외딴 산골로 놀러갔다가 차가 고장나 어쩔 수 없이 하룻밤을 같이 보내야 하는 연인들의 낯익은 에피소드나 ‘내가 사랑하는 사람은 늘 다른 사람을 사랑하는’ 신파조 삼각관계도 그래서 빠뜨리지 않았다.

인기(박중훈 분)는 유학파지만 생활고때문에 어쩔 수 없이 에로 비디오를 찍는 순박한 마음을 지닌 감독. 지금은 ‘마님 사정 볼 것 없다’ ‘박아사탕’같은 ‘벗기는’ 영화들을 찍지만 언젠가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불후의 명작을 만들겠다는 꿈이 있다.

여경(송윤아)은 유명인사들의 자서전을 써 주는 대필작가. 자신의 처지때문에 사랑하는 남자에게 한번도 마음을 드러내지 못했지만 조만간 자신의 이름이 찍힌 소설집을 내겠다는 야망이 있다.

감독과 시나리오 작가 관계로 만난 두 사람은 시나리오 한편을 완성시키면서 애틋한 사랑의 감정에 빠져들지만 뒤늦게 인기는 여경이 진짜로 사랑하는 사람은 자신의 선배라는 사실을 알게 된다. 또 각박한 영화계 현실때문에 자신이 쓴 시나리오를 직접 영화로 만들지 못하고 선배에게 물려주게 되자 인기는 울부짖는다. 그래도 ‘희망은 있다’고.

“특별하지 않으면서도 많은 아픔을 간직한 사람만이 사실은 인생에서 불후의 명작을 만들 수 있다” 심광진 감독의 말이다.

냇가에 앉아 있는 두 남녀 사이로 반딧불이 반짝이고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간주곡’에 맞춰 춤을 추는가 하면, ‘사랑했지만 바라만 봐야 했던 당신’으로 시작하는 편지가 흐른다. 감독은 조금 ‘못난’두 남녀를 내세워 옛 정서를 공략하는 ‘촌스러운’장면들을 의도적으로 연출했다.

그러나 가슴 한 구석이 훈훈해지는 인간미보다 진부함과 지루함이 앞서는 것은 왜일까. 특히 감독의 희망에 관한 집중적인 메시지는 일종의 강박관념처럼 느껴질 정도로 직접적이다. 23일 개봉.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