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자격증

자격증은 농업분야에도 있다. 농업자격시험은 과수재배기능사, 농화학기술사, 산림경영기술사, 시설원예기술사, 식물보호기능사, 원예종묘기사, 종자산업기사, 축산기능사, 버섯종묘기능사, 임산가공기능사, 채소재배기능사 등 각 분야마다 기능사·산업기사·기사·기술사 등 단계별 등급시험이 응시제한 없이 해마다 치러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자격증 시험은 관련분야에 상당한 지식과 재배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어 우수한 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는 좋은 기회로 활용이 훌륭하다.

그러나 농업자격증 시험에는 극소수의 농민들만 응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자격증제도가 있는지조차 모르는 농민이 많을 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분야와 달리 자격증 취득 농민에 대한 혜택이 전무하다시피하기 때문이다. 다른 분야와 달리 응시생이 적다 보니 교재가 충분치 못해 시험을 준비하는 농민들의 고충이 크고 한해에 고작 한 두번 시행되고 있다.

원인은 또 있다. 농업계 고교나 대학생들이 농업분야의 자격증을 취득한다 해도 영농정착에 아무런 도움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이다. 박사학위 소지자들도 실업자가 수두룩한 세상이니 유독 농업자격증만 갖고 따질 일은 아니다. 하지만 한국은 농업기술의 선진화와 신지식 전문농업인 육성이 화급하고도 절실한 과제이다. 선진 기술농업의 육성은 구호만으로 그치고 계획만으로는 안된다. 농산물 생산은 물론 농산물유통

개선과 가공부문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의 개혁도 중요하다.

지난 수천년을 고난과 역경을 숙명처럼 알고 끈질기고 슬기롭게 이 땅을 지켜온 이들이 바로 농민들이다. 이제 농민들에게 인내만을 강요하는 시대는 지났다. 농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어야 한다. 농민들은 그동안 정부와 국회의 경시속에서 살아왔다. 농민을, 그리고 농촌을 사랑한다는 달콤한 말에 속아 왔다. 농정당국과 지자체, 학계, 연구지도기관 단체들은 ‘내가 농사를 짓는다’는 심정으로 일해야 한다. 인건비도 건지지 못하는 가격폭락에 농작물을 그대로 놔둔채 밭을 갈아 엎는 농민들이, 그리고 영농부채에 시달려 스스로 목숨을 끊는 농민들이 더 이상 나와서는 안된다. 개발이라는 미명하에 점점 사라져가는 농토를 가슴에 품고 사는 농민들의 아픔을 국가가 외면하면 민심과 천심이 좌시하지 않는다. 농업자격증을 적어도 사법고시 합격증처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우대하는 사회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淸河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