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정책자금 취급기관 다원화

농업정책자금 취급기관이 농협에서 시중은행과 지방은행으로 다원화되는 경쟁체제가 도입된다.

또 농업을 21세기 생명공학의 선도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농업벤처펀드 300억원이 조성되고 농촌진흥청이 농업생명공학 전담기구로 개편된다.

한갑수 농림부장관은 7일 오전 청와대에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2001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김대중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계획에 따르면 농협에서 독점해온 정책자금 취급을 다른 금융기관으로 다양화해 농민들이 쉽게 정책자금을 지원받을 수 있도록 했다.

현재 정책자금 금리는 연 5%수준이며 농협 상호금융 금리는 평균 11.5%, 시중은행 금리는 8∼9% 수준이다.

또 농업생명공학 발전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정부 30, 민간 70 비율로 출자하는 농업벤처 펀드 300억원을 조성해 농업관련 벤처기업을 현재 110개에서 300개로 확대 육성하고 농업벤처창업보육센터를 현행 1개소에서 4개소로 늘리기로 했다.

농림부는 농업벤처펀드를 단계적으로 늘려 1천억원까지 조성하고 2004년까지 농림예산의 5%를 연구개발투자비용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선 농협의 구조조정을 앞당기기 위해 ‘협동조합구조개선특별법(가칭)’을 제정, 농협의 169개 부실조합을 조기에 정리하고 내년까지 5천500명의 인력을 추가로 감축키로 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