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제한구역내에 LPG충전소 허가를 설치하려는 사업자들의 경쟁이 과열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은 LPG충전소 허가를 받기 위한 브로커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LPG차량이 급증해 충전소가 확충돼야 하지만 까다로운 규제와 주민 민원 등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개발제한구역내 충전소의 큰 수익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14일 경기도 및 일선 시·군에 따르면 지난해말 도내 LPG차량은 23만4천616대로 99년말 13만9천154대보다 10만여대가 늘었으나 LPG충전소는 같은기간 97개에서 117개로 20여개가 늘어나는데 그쳐 차량운전자들의 타시군으로 원정을 가야하는 등 불편이 가중됐다.
이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지난해 개발제한구역내에 LPG충전소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해 시·군에서 배치계획에 따른 설치허가를 내주기로 하면서 신청자들이 몰려 최고 24대 1의 경쟁을 보이고 있다.
안산의 경우 3개 노선의 5개 LPG충전소 설치 계획에 모두 38명이 신청해 7.6대1의 높은 경쟁률을 보였으며 시흥공단에서 뱀골방향 1개소 계획에 16명이나 신청했다.
고양은 6개노선 15개소 계획에 모두 45건이 접수돼 3대1의 경쟁을 보였으며 의왕도 4개노선 8개 계획에 모두 19명이 신청해 2대1을 넘어서고 있다.
남양주는 5개소 계획에 무려 55명이 몰려 11대 1의 경쟁을 보였고 이중 퇴계원면∼진접읍 1개소에 24명이 신청하기도 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