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래시장 시설자금 등 경기침체로 유명무실

재래시장 및 점포시설 활성화를 위해 정부와 경기도가 지원하고 있는 중소유통구조개선자금이 지속되는 경기침체로 중소상인들의 융자실적이 줄고 있는데다 담보부담으로 유명무실화되고 있다.

15일 경기도와 재래시장 상인들에 따르면 유통시장 개방이후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재래시장 및 중소유통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부 재정자금 융자금리에 따라 연 6.5%의 3년거치 5년분할 상환으로 점포시설 개선자금 1억원 이내, 시장시설개선 10억원이내의 중소유통구조개선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융자결정금액 가운데 대출실적의 경우 지난 97년 34억3천만원 가운데 9억8천만원, 98년에는 76억원 가운데 9억2천만원, 99년 56억원 가운데 10억원, 2000년에는 62억원 가운데 4억원으로 급감했다.

융자결정건수 가운데 대출실적도 지난 97년 101건(41건), 98년 102건(26건), 99년 140건(26건), 2000년 47건(7건)으로 크게 줄어든 상태다.

이러한 현상은 재래시장 상인과 점포 상인들이 장기화되는 경기침체로 융자를 받아 투자하더라도 재래시장 경기 활성화가 불투명해 기피하고 있는데다 융자를 실시하는 금융기관들의 영세상인들에게 무리한 담보를 요구, 융자조건이 맞지 않아 대출이 무산되는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수원 영동시장내 상인 이모씨(45)는 “워낙 재래시장의 경기전망이 불투명한 상태에서 대출자금이 빚이라는 개념을 갖고 있는 상인들이 밑빠진 독에 물붇기식의 시설투자를 한다는 것은 어려운 실정”이라며 “공용주차장 설치 등 실질적으로 사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대책마련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도 관계자는 “지속되는 경기부진으로 매출이 급감하고 있는데다 재래시장이 활성화되리라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융자를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승돈기자 sdpark@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