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자금지원 유명무실

김대중 대통령이 최근 중소기업의 대출관행을 개선하라는 지시를 했음에도 경기도와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이 업력이 짧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원하는 중소·벤처창업자금이 담보가 없거나 매출액이 적다는 이유로 지원이 안돼 새로 제조업으로 진출하는 중소기업인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있다.

도와 경기중기청에 따르면 도는 창업한지 7년이내의 중기에 대해 운전 5억원, 시설 10억원, 벤처자금 5억원까지, 경기중기청도 가동한지 3년미만의 중기에 대해 5억원 이내 장기저리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업력이 일천한 창업2년 이내의 중기들은 담보가 없거나 매출액이 적다는 이유로 이들 자금의 집행기관인 금융권이나 중소기업진흥공단, 경기신용보증재단, 기보, 신보 등으로부터 외면을 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경기중기청이 지원하는 벤처·창업자금의 경우 지난해까지 은행을 거치지 않는 중진공의 직접대출로 기술성과 사업성이 있는 업체에 대해 과감한 지원을 했으나 올초부터는 이 제도가 시행되지 않아 업력이 짧은 중기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올해초 창업한 평택 소재 H사는 생산라인 시설자금만 9억원을 투입한 뒤 운전자금이 없어 도에 운전자금을 신청했으나 담보가 마땅치 않고 매출액이 미미하다는 이유로 금융권과 경기신보로부터 거절 당했다.

이에 앞서 99년 5월에 창업한 수원 소재 E사는 지난해 도에 벤처창업자금을 신청했으나 매출액은 있으나 적자가 났다는 이유로 역시 외면을 당했다.

또 작년 5월 창업한 수원 소재 D벤처사는 도와 경기중기청의 자금을 신청하려고 했으나 아직 매출액이 없자 상담만 한 채 신청할 엄두를 못내고 있는 실정이다.

중기인들은 “자신감을 가지고 제조업을 시작했으나 벤처·창업자금이 유명무실해 기업을 운영할 의욕을 상실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의 한 관계자는 “정책기관인 우리로서는 가급적 해주려고 하지만 집행기관에서 담보문제가 해결이 되거나 보증서 발급시 까다로운 규정 때문에 어려움이 많은 것은 사실”이라고 밝혔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