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전가식 감찰

10년만에 인천지역에 등장한 화염병에 놀란 경찰이 좌충우돌하는 사이 진압버스가 불에 타는가 하면 천주교인들이 성역으로 여기는 성당안까지 공권력이 투입되는 사태가 빚어졌다.

지난 19일 오후 부평역전 대우차 공권력 투입 항의집회에는 민주노총과 대우공동투쟁본부 소속 회원 2000여명이 참석했고 경찰 45개 중대병력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이어 가두 선전전에 나선 집회 행렬에서 600여명의 시위대가 경찰에게 1시간여동안 모두 20박스(200여개) 분량의 화염병과 쇠파이프를 휘둘러 놀란 전·의경들이 우와좌왕 하면서 9명이 부상을 입고 진압버스 1대가 불에 전소되는 상황이 전개됐다.

이어 경찰 진압이 시작되면서 시위대로 보이는 4명의 학생들이 성당으로 피했고 뒤쫓던 전·의경 4명이 성당안에서 이들을 연행한 뒤 상황은 종료됐다.

버스 1대가 불타고 4명이 성당안에서 연행된 진압작전을 감찰이 그냥 넘길리 만무였다.

현장을 지켜본 본청감찰은 오후 7시부터 진압에 나섰던 지휘책임자를 비롯, 현장 책임자와 전·의경 중대장 등을 찾아다니며 감찰조사를 실시했고 일부 지휘관으로부터는 자인서도 받아냈다.

그러나 이같은 감찰조사는 책임전가용 조사라는 불만이 잇따랐다.

평소 2개 중대병력을 거느린 경찰서장에게 45개 중대병력의 지휘권을 맡기고 화염병이 날라드는 특수상황에서 지방청장이나 지방청 과장들은 외곽지원도 하지 않은채 수수방관하다 문제가 야기되자 뒤늦게 인력 보강등 수선을 떠는 모습이나 난생처음 화염병을 접하고 무조건 시위대만을 쫓아 성당에 들어갔던 전·의경들의 입장을 배제한 감찰의 조사는 잘못됐다는 것이다.

분명 감찰조사는 경찰 내부 문제로 이의를 달 수는 없으나 이번 감찰조사가 책임을 묻기 위한 조사라면 4일 밤을 좁은 버스안에서 지내고 쇠파이프와 화염병 속에서 진압에 나선 많은 경찰들의 사기를 꺾을 수 있다는 점에서 신중히 고려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김창수기자 cskim@kgib.co.rk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