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국민당이 김윤환 대표의 ‘연정제의’에 대한 신임을 묻기 위한 전당대회(23일)를 앞두고 극심한 갈등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윤환 대표측이 지난 9일 당무회의에서 ‘김 대표가 전당대회에서 재신임될 경우 여권과의 연정추진이 당론으로 확정된 것으로 간주한다’는 결의안을 채택한데 대해 반대론자들이 강력 반발하고 있기 때문.
특히 이기택, 신상우, 허화평, 김동주, 장기표 최고위원등 연정 반대론자들은 “김 대표가 자신의 신임여부를 연정 당론화와 연결시키는 것은 여권의 지원을 간접적으로 요청하는 전략에 따른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이들은 이에 따라 12일 기자회견을 통해 “지난 9일 당무회의는 의결정족수 미달이었던 만큼 그 결과는 무효”라는 입장을 밝힌뒤 김 대표의 사퇴와 정계은퇴 등을 강력히 요구할 예정이다.
한 최고위원도 “공천 대가 수수혐의로 5년형을 선고받은 김 대표가 대표직을 계속 수행하겠다는 것 자체가 말도 안된다”고 비판했다.
연정반대를 외치고 있는 지구당위원장들도 ‘비상대책위’에서 ‘김 대표 퇴진 추진위’로 명칭을 바꾸기로 했다.
또 100명의 지구당위원장 가운데 그동안 김 대표 퇴진에 서명한 52명의 명단을 조만간 공개하는 한편 김 대표 사퇴의 당위성을 알리는 홍보물도 우송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김 대표측은 지구당위원장과 대의원들과의 직·간접적인 접촉을 통해 ‘연정제의’의 불가피성을 설파하고 있다.
김 대표의 한 측근은 “퇴진서명운동에 52명이 참여했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현재 26명밖에 참여하지 않는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그는 “문제는 전당대회에서 얼마나 압도적 수자로 김 대표가 재신임되느냐 하는 것”이라고 못박았다.
한편 전당대회 전에 여권에서 개각을 하고 민국당 한승수 의원의 참여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향후 ‘연정불가피론’이 힘을 얻게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런 가운데 전당대회에서 ‘연정당론화’를 추진하려는 김 대표측과 반대론자들 사이에 벌써부터 금품살포 의혹 등이 제기되는 ‘연정’ 문제로 인한 민국당의 갈등양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란 관측이다.
/이민봉기자 mb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