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퀼스’(Quills)는 프랑스 실존인물 사드 후작의 격동적인 삶을 그린 영화다.
사디즘의 어원이 된 사드 후작이 음란서적 발간 혐의로 붙잡혀 샤렝턴 정신병원에서 보낸 생애 마지막 10년의 일대기가 꽤나 사실적으로 그려져 있다.
프랑스 최고 귀족가문 출신으로 인간의 욕정과 성적집착에 대한 글을 써 27년이나 감옥생활을 한 자유주의자이자 혁명주의자인 도나시엥 알퐁스 프랑소아 드 사드의 금기에 도전한 글쓰기에 대한 묘사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나폴레옹 황제 치하의 18세기 프랑스, 대혁명 말기 공포정치 시대에 수천명의 시민들이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는 것을 목격한 사드(제프리 러시)는 젊은 시절부터 가학적이고 문란한 성행위와 성도착적인 소설집필에 몰두, 악명을 떨친다.
정신병원에 수감된 사드는 병원 세탁부 종업원인 마들렌(케이트 윈슬렛)을 통해 직접 쓴 음란소설을 외부로 빼내 몰래 출판하고, 이런 사드를 나폴레옹은 의사를 파견해 감시한다.
위선적 도덕주의자인 이 의사는 사드의 유일한 의사소통 수단인 글쓰기를 철저히 금지하고, 그럴 수록 사드의 광기는 더욱 노골화돼 간다. 이런 가운데 마들렌은 사드의 원고 유출에 도움을 주었다는 이유로 붙잡혀 공개태형에 처해지고, 마들렌을 몰래 사랑했던 쿨미어 신부(조아킨 피닉스)는 그녀를 보호하기 위해 마들렌을 멀리 떠내보내기로 마음먹는다. 마들렌은 쿨미어 신부를 찾아 사랑을 고백하면서 자신을 떠나
보내지 말아달라고 애원하지만 거절당하고, 병원을 떠나기 앞서 사드에게 마지막 이야기를 들려달라고 부탁한다.
그러나 그 부탁이 화근이 돼 사드가 마지막 이야기를 마들렌에게 전하는 도중에 병원은 화염에 휩싸이고 마들렌도 병원내 정신병자에게 ‘희생’당하고 만다.
‘프라하의 봄’ ‘헨리 밀러의 북회귀선’의 필립 카프만이 연출을 맡은 이 영화는 올해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미술상, 의상상 등 3개부문 후보에 올라 있다. 지난해 베를린 국제영화제에서도 화제가 됐었다. 18-19세기 프랑스 분위기가 물씬 풍겨나는 것도 색다른 재미로 꼽힐 수 있겠다.
또 ‘샤인’으로 아카데미 남우주연상을 수상한 데 이어 올 아카데미 남우주연상 2연패에 도전하는 제프리 러시와 ‘타이타닉’의 케이트 윈슬렛, ‘글래디에이터’의 조아킨 피닉스의 연기가 조화를 잘 이뤘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17일 개봉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