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전 서울 대림역 지하철에서 채희수씨라는 소방관이 봉변 당하던 여자 승객을 도우려다 괴한이 휘두른 흉기에 찔려 숨진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 지하철이 치안의 사각지대라는 사실을 그대로 보여준 통탄스러운 노릇이 아닐 수 없다. 지하철이 불량배와 소매치기범들의 활동 주무대가 되어가고 있다니 시민들이 어떻게 지하철을 이용하겠는가.
서울지하철수사대에 따르면 지난 한햇동안 발생한 지하철 범죄가 무려 800여건에 이른다. 날마다 2∼3건의 범죄가 지하철역 구내와 전동차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셈이다. 지하철 범죄가 더욱 문제가 되는 것은 범행 대상이 주로 힘없고 약한 부녀자들이라는 점이다. 지하철 범죄의 대부분이 소매치기와 절도 또는 성추행으로 지하철 이용객 특히 여성들은 손가방 조심에서부터 옷차림까지 신경써야하는 곤욕을 매일 치르고 있는 것이다. 게다가 지난 1997년말 IMF사태를 계기로 쏟아져나온 노숙자들이 지하철역으로 모여 들면서 이같은 범죄가 늘어났다는 사실이 마음을 어둡게 한다. 이번에 소방관을 흉기로 찌른 사람도 지하철역 노숙자 출신이라니 더욱 그러하다. 지하철공사측도 노숙자들의 역 구내 노숙을 사실상 허용한 상태라고 하니 난감할 것이다.
지하철에서의 범죄발생은 소방관 피살사건에서 보듯 사회전반적으로 확산된 이기적 풍조에도 그 원인이 있다. 범인이 전동차안에서 몸을 부딪쳤다는 이유로 여대생의 뺨을 때리며 행패를 부리는데도 아무도 이를 제지하거나 신고한 사람이 없었다고 한다. 이러한 풍조를 악용하는 불량배들이 소매치기와 성추행을 공공연히 자행하는 것이다.
현재 263개 지하철역의 범죄 수사를 맡고 있는 서울지하철수사대 직원이 100여명에 불과하다고 한다. 그렇다면 역구내 순찰과 전동차 탑승수사를 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인력이다. 어찌 서울지역뿐이겠는가. 전국의 지하철 형편이 모두 이러할 것이다.
차제에 당국은 전동차안에도 범죄예방을 위한 순찰경찰관을 배치함은 물론 지하철수사대를 보강하고 신고 비상전화를 설치해야할 것이다. 형사들이 직감에 의존해 소매치기로 판단되는 사람의 뒤를 쫓아 승객을 가장해 잠복, 범죄현장을 덮치는 것 등은 원시적인 수사방식이다. 앞으로 치안망을 강력하게 확립, 지하철이 범죄의 온상지대라는 국민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