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사람이 이용하는 유원지 놀이시설이나 편익시설물들은 그 오락성이나 편리함에 우선하여 무엇보다도 안전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런데도 시민들이 즐겨 찾는 유원지의 각종 시설물을 살펴보면 곳곳 어디에나 사고의 위험이 널려 있으나 우리 사회의 안전대비 역량이 아직도 저급한 수준에 머물러 있어 언제 안전사고가 일어날지 모를 상황에
있다.
경기도가 최근 관내 19개 유원지 놀이시설의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 99개 놀이기구에서 안전바 작동불량·안전벨트 고리파손·브레이크 고장 등 134건의 불안전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국의 지속적인 안전점검에도 불구하고 유원지 놀이시설마다 10여건씩의 불안전 요인이 여전히 나타나고 있는 것은 평소 놀이시설 운영업소측의 안전대비책이 그만큼 소홀했음을 드러낸 것이다.
이처럼 업소측의 안전대비책이 철저하지 못한 것은 우리 사회의 고질화된 안전성에 대한 무딘 감각의 소치로 이는 극히 위험스러운 타성이 아닐 수 없다. 해마다 행락철이면 유원지에서의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는 것도 모두 이같은 안전불감증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유원지의 시설물들이 아무리 우리에게 행락의 즐거움과 편익을 제공한다 하더라도 고장이 잦아 이용자들을 다치게 하거나 생명을 앗아가는 등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그런 시설물들은 차라리 없는 편이 낫다.
또 기능적 구조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위험요소가 도사리고 있다면 그것은 놀이·편익시설물로서의 가치를 상실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행락객들이 이용하는 놀이시설이나 편익시설물은 100%의 완벽한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우리는 안전대비책을 소홀히 한채 대형사고를 당하고 나서야 대책을 서두르는 못된 버릇을 아직도 버리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제 복지사회를 지향하는 국민답게 우리의 안전의식도 철저하게 바뀌어야 한다. 시민들이 많이 모이고 특히 어린이들의 이용이 많은 유원지의 놀이시설과 편익시설은 예상되는 각종 안전사고에 대한 대비를 평상시에 철저히 해둬야 한다. 모든 시설들은 사소한 부분에까지 안전하고 편리하도록 설계 시공되어야함은 물론 안전사고 위험요소는 발견즉시 제거함으로써 사고가 재발안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관계당국은 정기점검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수시점검을 실시, 적발된 불량업소는 엄중하게 처벌하도록 행정력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