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천만 경기교육의 수장을 선출하는 제3대 민선 교육감 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각종 언론기관이나 시민단체가 주관하는 대담이나 토론은 거의 끝난 상태이며, 합동유세도 오늘 파주를 끝으로 마감된다. 그 동안 후보자들은 짧은 선거운동 기간을 통하여 되도록 많은 학교운영위원들인 유권자들에게 자신들을 알리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하였으며, 아직까지 큰 사고 없이 선거운동이 진행되고 있어 이제 선거인들의 심판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그러나 이런 표면적인 선거운동과는 달리 비공개적으로 지연·학연 등과 같은 조직에 의하여 선거운동이 전개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은밀하게 노골적인 금품공세, 향응 등이 자행되고 있어 교육감 선거가 혼탁해지고 있다는 지적도 많다. 실제로 선거업무를 주관하고 있는 도 선관위에는 불법 선거운동 신고가 늘고 있어 정치인 선거와 무엇이 다르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어 선관위 관계자들의 철저한 조사가 요망된다.
더욱 문제인 것은 경기교육의 수장을 선출하는 교육감 선거가 막상 교육수요자인 일반시민들의 관심이 저조한 가운데 실시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교육감 선거의 특수성은 인정하지만 극히 제한된 선거운동 방식과 선거인등을 상대로 선거운동이 전개되고 교육의 실수요자인 일반 시민들은 교육감 후보자가 누구인지, 그리고 과연 어떠한 정책을 가지고 경기교육을 이끌겠다는 것인지 조차 모른다.
대담이나 토론은 물론이고 합동유세에도 학교운영위원이나 각 후보자의 선거운동원 이외에 일반인들의 참여는 극히 저조하다. 아직도 대부분의 일반시민들은 교육감 선거가 진행중임도 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니 관심은 이차적 문제가 아닌가. 선거인들도 후보자가 보내는 단 하나의 선거공보 이외에는 후보자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가 없다.
교육감 선거가 정책 선거가 되기 위해서 선거운동 방법을 더욱 다양화하는 방법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일반시민들도 교육감 선거에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선거홍보도 강화되어야 한다. 후보자가 선거인 명단도 알지 못하고 선거운동을 하라는 것은 오히려 불법선거운동을 조장하는 것은 아닌지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개방화 시대인 21세기에 걸맞는 선거운동 방법이 강구되어 교육 수요자인 일반시민과 함께 하는 교육감 선거가 되어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