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빵업체에서 10여년간 근무하다 99년 구조조정으로 실직한 안모씨(37·안산시 본오동)는 3년만에 또 다시 실직자로 전락했다.
실직후 1년동안 재취업을 위해 이곳저곳 문을 두드렸지만 기업들이 IMF여파로 경제가 어려워지자 경력자는 물론 신규 채용마저 꺼려 일자리를 찾을 수가 없었다.
그나마 퇴직금에다 모아둔 돈으로 생활했지만 더 이상 버틸 수 없다고 판단한 안씨는 공단지역내에서 분식집을 하기 위해 지난해 6월 소상공인 자금지원을 신청했다.
담보도 없는 상태라 경기신용보증조합을 통해 신용보증서를 발급받아 3천만원의 자금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1년도 채 안돼 안씨는 문을 닫을 수 밖에 없었다.
시장조사 당시에는 하루 10여만원씩 매상을 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 반월공단 근처에 가게를 냈다.
그러나 경기가 침체되고 IMF로 일자리를 잃지 않기 위해 임금이 깎이면서 소비마저 침체돼 하루 매상이 5만원도 안되고 그나마 휴일에는 공치는 경우가 허다했다.
이 때문에 안씨는 지원받은 소상공인 자금도 갚지 못한채 나뒹글 수 밖에 없는 처지로 전락했다.
안씨와 같이 실직후 소자본 창업에 뛰어들었던 창업자들이 소비부진 등으로 줄줄이 장사를 그만두는 현상이 올들어 부쩍 늘고 있다.
경기신보가 소상공인 자금으로 지원, 부도나 영업폐쇄로 받지 못하는 자금이 지난해 한해동안 311건 58억7천200만원이던 것이 올들어 3월말 현재 91건 14억1천700만원에 달하고 있다.
경기신보 관계자는 “IMF여파가 현재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전제한 뒤 “기업들이 신규 채용을 꺼리고 있고 소비는 줄고 있어 소자본 창업을 한 사람들이 부도가 나는 등 그 여파는 당분간 계속 될 것 같다”며 “정부의 장기적인 경기부양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유재명기자 jmyo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