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달청, 정보통신부 등 정부기관과 대한주택공사, 농업기반공사 등 정부투자기관들이 앞다투어 전자입찰을 시행하고 있으나 각 기관별로 다른 시스템을 구축해 응찰업체들의 혼란을 가중시키는데다 비용을 이중으로 부담하게 돼 조달청 사이트로 일원화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특히 시스템 구축비용이 과다하게 들어 국가예산 낭비가 우려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들어 발주기관들이 입찰집행과정의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를 위해 온라인상에서 공사 및 구매입찰을 집행하고 있다.
그러나 발주기관별로 각기 다른 시스템을 구축하는 바람에 업체들이 응찰때마다 서로 다른 발주사이트를 방문하는 번거로움과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
또 이처럼 상이한 전자입찰시스템에 응찰할 경우 전자서명법에 따라 정보인증업체에서 제공하는 범용인증서를 받아야 하므로 기존 입찰수수료 뿐만 아니니라 연간 11만원의 인증수수료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각 발주기관별로 시스템 구축을 위해 최소 1억원 이상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국가예산을 낭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자입찰시스템을 조달청 전자입찰사이트로 단일화해 입찰관련 정보를 통합운영체제로 운영함으로써 발주기관의 중복되는 시스템 구축비용 뿐만 아니라 응찰업체들의 편익을 제고시키고 비용부담을 경감시켜야 한다는 지적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자입찰시스템을 이미 구축한 발주기관의 경우에는 조달청 전자입찰사이트에서 연결될 수 있도록 응찰업체에 편익을 제공하고 입찰참가수수료를 면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표명구기자 mgpy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