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0일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 재수정 요구안 전달 이후 일본측의 자세와 동향 등을 주시하면서 재수정 관철을 위한 단계적 외교적 대응방안을 수립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김상권 교육차관 주재로 재수정 요구안 전달이후 첫 정부대책반 회의를 열고 왜곡시정 관철을 위한 대책을 논의, 최근 일본내에서 거론되고 있는 ‘총리 사과담화’ 등은 교과서 재수정이 전제되지 않는 한 받아들일 수 없다는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특히 재수정 관철을 위한 범정부적 대처를 위해 앞으로 매주 1회 개최될 왜곡대책반 회의결과를 전부처에 통보, 부처별로 효과적인 대일 대응책을 마련하는데 참고토록 했다.
또 중장기 대책방안의 하나로 ‘우리역사 바로알리기 센터’와 같은 일본 역사교과서 왜곡시정 및 한국관(觀) 홍보를 위한 상설기구를 내년 공식 출범을 목표로 총리실 등의 산하에 설치키로 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국제적 무대 활용 방안 ▲재수정 요구관철 방안 ▲일본내 왜곡교과서 불채택운동 대응방안 ▲중장기 대응방안 등을 집중 논의했다.
정부는 또 일단 우리의 재수정안 전달이후 일본내 여론이 ‘재수정 필요’, ‘재수정 불가’로 이분화되었다는 판단에 따라 신중히 일본내 움직임을 지켜보기로 했다.
이와 함께 유엔 등 국제무대에서 왜곡교과서 문제 집중 제기, 4차 대일문화개방일정 연기 등 다양한 방안을 적극 검토한다는 방침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의 재수정안에 대해 일본내 여론도 엇갈려 있는 등 당분간은 신중히 지켜봐야 할 것”이라면서 “대일대책과 함께 우리 정부 스스로 할 수 있는 중장기 대책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