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예비비’라도 풀어야

이 가뭄에 홍수를 말하는게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다. 그렇지만 가뭄끝에 홍수가 닥친다고 하였다. 기상대는 이달말 남부지방의 폭우를 예보했다. 폭우는 점차 북상, 남한 전 지역의 홍수가 조만간에 예상되는 것이다.

거의 해마다 닥치는 홍수피해에 똑같은 말을 한적이 있다. ‘내년부터는 재발하지 않도록 항구적 대책을 강구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지금 잘되고 있는지 생각해본다. 어제 본지1면에 보도된 현장르포는 올해도 역시 되풀이될 수해 불안을 생생히 경고하는 것이었다. 수재민들의 탄식어린 조소가 생각된다. 국무총리를 비롯한 정부당국자의 현장순시에 “작년에 오셨더니 올해도 또 오셨구먼요!”하고 냉소를 퍼부었던 적이 있다. 심지어는 대통령이 수해순시에 우심지역의 거부정서를 고려해 방문을 우회한 일조차 있었다.

현장르포에 의하면 평택시 신장동의 경우, 16억원이 부족한 배수펌푸장 공사 중단으로 이미 들인 65억원이 무용지물이 될것이라고 한다. 이때문에 주민들은 수해가 우려되는 올 여름철을 벌써부터 두려워 한다는 것이다. 이미 마쳤거나 마칠단계가 돼야 할 수해대책 사업이 이렇게 중단된 곳이 15개 시군에 61개사업이다. 대부분이 호안 및 배수시설의 개보수 등 이다. 추가 소요액이 그리 많은것도 아니다. 모두 합쳐 300억원이다.

‘화룡점정’이란 말이 있다. 용을 그려놓고 마지막으로 요긴한 눈동자를 그려 넣음으로써 사물을 완성시킨 다는 뜻이다. 추가소요액 300억원의 국비지원이 없어 공사가 중단된 수해대책 사업은 바로 화룡점정이 결여된거나 다름이 없다. 본란은 일찍이 이에 대한 중앙재해대책본부의 잘못을 질책한바가 있다. 그러나 알아듣지 못하는 벽창호 같은 중앙정부를 대고 더 말할 필요는 없을것 같다.

지방정부라도 이젠 나서야 한다. 이대로 놔두어서는 연례행사의 수해로 수많은 인명 및 재산피해를 또 당할것이 불을 보듯이 뻔하다. 엄청난 공포의 재해를 당하고 나서 누구의 책임으로 인한 인재임을 따지는 것은 부질없다. 그래서 경기도에 당부하고자 한다. 중앙정부가 정신을 못차리면 지방정부라도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경기도는 예비비를 풀어 미흡한 수해복구 사업을 조속히 마무리 짓는 결단이 있기를 기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