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차 교육과정’ 合一點 찾아야

2000년부터 단계적으로 초중등학교에 시행중인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일선 교사들의 반대운동이 만만치 않게 확산되고 있다. 한국교총과 전교조가 재작년 시행전부터 벌여온 반대운동에 이어 엊그제는 도내 303개 고교중 176개 고교 교사대표들이 내년 고교 확대 시행을 앞두고 이의 반대를 선언했다. 수준별 학습과 학생선택권 부여를 특징으로 한 7차 교육과정에 대해 교육현장의 일선 교사들이 이같이 부정적 입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당국으로서도 주목해야 할 일이다.

교사대표들은 반대선언을 통해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학습과 선택형 교육은 이미 시범학교 운영결과 심화반과 보충반의 이동수업에 따른 혼잡과 어수선한 분위기가 수업에 큰 장애가 된다는 것이 드러났다고 주장했다. 특히 보충반에 편입된 학생들의 열등감과 심화반 학생들의 우월감이 불필요한 갈등을 조장하고 교육의 불평등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선택형 교육은 필연적으로 상치교사·순회교사·기간제 교사의 대폭적인 증원이 필요한데 이런 여건을 충분히 갖추지 않은 상황에서의 강행은 졸속으로 끝날 수밖에 없어 교육과정 자체의 차질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교육부는 그동안 평준화로 인한 획일교육이 문제될때나 부실한 학교교육으로 인한 과열 과외문제가 제기될 때마다 이 문제들은 앞으로 7차 교육과정만 정착되면 자연스럽게 해소될 것이라며 이를 자신감 있게 추진해 왔다. 그러나 현장에서 이를 시행해야 할 일선 교사들이 극력 반대하고 나섬으로써 당국의 의욕찬 교육정책이 중대고비를 맞고 있는 것이다.

과거 수없이 단행한 교육개혁이 교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지 못했기 때문에 실패했음을 감안할때 적절한 타협점을 찾지 못하면 7차 교육과정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열린교육’을 구현 하려는 정부계획은 상당히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더욱이 일선 고교 교사들은 7차 교육과정이 재조정 되지 않고 그대로 시행될 경우 불복종 운동을 벌이는 등 극한투쟁까지 표명하고 있어 당국과 교사간 첨예한 대립과 갈등이 걱정되기도 한다.

그러나 교육계의 마찰이 더 이상 격화돼서는 안된다. 양측은 서로의 입장에 귀를 기울이고 교육발전을 위한 진지하고 충분한 논의를 통해 교육발전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