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뭄극복을 위해 마구 개발하고 있는 관정의 관리소홀로 지하수가 크게 오염되지 않을까 걱정되고 있다. 환경부가 작년 전국 1천522개 수질측정망을 통해 지하수 수질을 정밀 분석한 결과 6.6% 정도가 오염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발암물질인 트리클로로에틸렌 및 테트라클로로에틸렌과 어린이 청색증을 유발하는 질산성 질소가 지하수를 가장 오염시키는 화학물질로 밝혀졌다.
도내 5만개를 포함 전국에서 사용중인 약 99만개의 지하수 공(孔) 중 얼마나 많은 지하수가 식용수로 불가능할 정도로 오염됐는지 짐작할 수 있다. 지하수가 이렇게 오염된 것은 누구나 지하수를 퍼올려 쓰다가 필요 없으면 그대로 방치할 수 있게 한 개발위주 정책이 초래한 결과다. 토양자체가 심하게 오염된데다 지하수를 퍼올리다 버려진 구멍을 통해 축산 및 공장폐수 등 오염물질이 지하수대(帶)로 침투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 국토는 이제 수십 미터 땅속 깊은 곳에서 퍼올리는 물마저 믿고 마실 수 없는 상황이 됐다.
따라서 지하수를 살리기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시급한 조치는 철저한 폐공(廢孔)관리이다. 환경부는 지하수를 퍼올리다 내버린 폐공이 전국적으로 20만∼30만개 정도로 추정하고 있지만 도내에는 얼마나 있는지 경기도 등 관계기관이 현황파악 조차 못하고 있는 한심한 실정이다.
이제 지하수 오염이 더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선 폐공 현황파악이 급선무다. 도내에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짐작되는 폐공을 그대로 두는 한 지하수가 깨끗해질 수 없다. 당국은 우선 폐공을 찾아내 장마가 오기전에 복원사업을 벌여야 한다. 또한 수질보전차원에서 지하수개발 행정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지하수개발 허가와 관리가 행정적으로 체계화 되지 않으면 오염과 낭비를 막을 수 없다.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인구 증가와 물 소비패턴으로 볼 때 조만간 물 부족사태를 빚을 것으로 경고 받고 있다. 댐 건설도 여의치 않아 한정된 지하수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당국은 깨끗한 지하수를 절제하며 쓸 수 있도록 제도 정비를 서둘러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