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퇴진운동이 노동운동인가

민노총이 제2차 연대파업을 벼르고 있다. 본란은 민노총의 과격투쟁을 우려하며 자제해줄 것을 간곡히 당부한 바가 있다. 김대중 정권을 위해서가 아니고 국민경제를 위해서라고 했다. 그런데도 달라지기는 커녕 국헌문란을 우려할 지경이 된 것은 심히 유감이다. 민노총의 정권퇴진운동은 정치운동이지 노동운동이 아니다.

우리는 일찍이 민노총 못지않게 이 정부의 실정을 신랄히 비판해 왔으나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정권퇴진이란 가당치 않다는 것이 신조다. 노동운동은 어디까지나 노동운동의 순수성을 지녀야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된다. 극한적 쟁의수단인 파업을 해도 사회정서가 이를 용납해야 성공하는 노동운동이 된다. 시가지를 무단점유 하는 대규모 시위로 시민생활권을 유린하기 일쑤며, 공유재산인 보도블록을 깨뜨려 투석을 일삼거나 화염병 세례를 퍼부어 사회를 불안케 하는 파괴행위는 국민의 눈에 노동운동으로 비치지 않은지가 이미 오래다. 노동운동 또한 달라져야 할 마당에 ‘김대중정권 퇴진’구호가 다 나오는 것은 실로 황당하다. 민노총 지도부는 뭔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것 같다.

민노총은 조합원들의 노동조직이지 지도부의 조직이 아니다. 세간에서는 일부 노동운동에 ‘노동귀족’이 등장하는 것을 걱정스럽게 바라보는 시선이 있다. 민노총 지도부가 이에 해당한다고 말할순 없겠으나 성찰은 요구된다. 도대체 정권퇴진 운동의 실체가 무엇인지 심히 의아스럽다. 합헌정부의 중도하차는 국헌을 문란케한 혁명이나 혁명적 수법에 의한 것임을 우리는 경험해 왔다. 진의는 잘 알 수 없지만 혁명을 하자는 것인지 뭣인지 도대체가 해괴하다.

외국의 투자 이탈이 심한 이유로 정부의 기업 과다규제와 함께 노동운동의 지나친 강성이 꼽히고 있다. 정부에 대한 노동운동의 질타도 좋지만 노동운동 또한 반성이 병행해야 하는 것이다. 우리는 노동계의 발전을 위해 민노총에 기대하는 바가 많았다. 그러나 노동단체가 아닌 정치단체로 변질해가는 현실에 실망을 넘어 불안하기까지 한다. 또 정치단체화가 외부개입이 없는 지도부의 자의인지 역시 의아스럽다. 아직도 늦지 않았다.

노동단체 및 노동운동 본연의 민노총으로 돌아가기를 거듭 간곡히 당부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