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제 실시이후 자생적 시민단체들의 활동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최근 회원 1천여명 규모로 출범한 ‘고양 단독주택 봉사단’에 거는 시민들의 기대도 크다.
특히 이 봉사단은 스스로 경비를 조달하고 주차·쓰레기·환경오염 등 단독주택 지역 문제 해결에 앞장서겠다고 밝혀 관심을 모이고 있다.
봉사단은 이달부터 매주 일요일 오전 6∼10시 지역별 대청소를 실시하고 수시로 환경감시 및 주차 계도 운동 등을 펼쳐나갈 예정이다.
지난 3월 이후 3개월만에 23개 지부를 설치한 이 봉사단은 앞으로 회원을 3만여명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어서 단일 단체로는 고양지역에서 규모가 가장 클 전망이다.
그러나 회원 상당수가 가구수 및 층수 제한을 폐지해 달라며 시위를 벌여 왔던 일산신도시내 단독주택 가구주들이어서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시장을 비롯한 선출직 시민대표들에게 압력 단체화 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 봉사단의 대표가 지난해 말 결성된 일산신도시 단독주택 협의회 회장인데다, 총 23개 지부 가운데 15개가 일산에 위치했기 때문이다.
이들이 봉사활동만 전념한다면 다행이지만, 외형적 힘을 키운 뒤 가구수 및 층수 제한 폐지 또는 완화 등을 요구한다면 선량들이 이들의 요구를 무시하기 어렵게 된다.
연간 수백만에서 1천만원대의 과태료를 물고 있는 등 재산권 행사에 큰 제한을 받고 있는 단독주택 건물주들이 언제까지 ‘순수 봉사’의 길만 걸을지 알수없는 일이다.
도시 전문가들은 가구수 및 층수제한은 전체 시민들의 삶의 질과 관계된 일이므로 흥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고 말한다.
봉사단이 일각의 기우를 털어내고 순수 봉사단체로 거듭 발전하기를 소망한다.
/고양=한상봉 기자 sbha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