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군수들에게 쓴 소리를 더 해야 되겠다. 내년 6월 실시예정인 지방선거에 출마할 지방자치단체장들의 선심성 행정과 선거법 위반 행위가 도를 지나쳐도 너무하기 때문에 하는 말이다. 선거관리위원회 등 단속기관의 사전 경고조차 무시하고 있으니 도대체 무엇을 믿고 부리는 배짱인지 알다가도 모르겠다. 아니 심히 걱정된다.
경인지역 외에서 벌어지는 각종 사례는 들지 않겠다. 안양시의 경우 지난 5월초 시장 이름이 새겨진 효도사진(영정) 1천300여개를 시민들에게 배포하다가 선관위에 적발됐고 하남시에서는 지난 3월 이후 4차례에 걸쳐 지역 헬스클럽 등 건강관련 단체들의 협의체인 ‘잉카홍보팀장’회원 77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1일 집체교육을 실시해 교육배경을 둘러싸고 논란이 일었다. 성남시는 지난 4월 노인회가 청와대 관광을 가자 시청과 구청버스 3대를 지원해 선관위로부터 선거법 위반으로 경고조치를 받은 사실이 있다.
국가경제나 지역사정에는 아랑곳 없이 그럴듯한 명분을 붙여 해외시찰, 축제, 간담회 등 선심행정을 펼치고 있는가하면 시·군정 설명회 및 반상회 등을 활용해 현직 지자체장인 자신의 치적을 알리고 있는 것도 시비거리다.
마을 단위 무료관광을 알선하고 체육대회와 경로잔치 현장을 방문하는 등 현직 프리미엄을 최대한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경기도내 일선 시군이 올들어 수천명의 주민을 동원하는 선심성 축제와 행사를 대규모로 개최한 것도 선거를 앞둔 얼굴 알리기 전략이라는 의혹을 살 수 있다.
경기도내에서 올들어 홍보물에 의한 선거법위반으로 선관위에 단속된 지자체장은 8명이며 축의금, 격려금, 반상회 지원 보조금을 통한 사전선거운동도 7건에 달했다. 인천지역의 일부 전·현직 구청장들이 선거에 앞서 선점을 하기 위해 ‘선거법은 나몰라라 ’하기는 마찬가지다.
선거에서는 물론 이기는 것이 제일 목표다. 그렇다고 관계 기관의 규제를 위반해서야 되겠는가. 이런 사실은 당사자들이 너무 잘 알고 있을 것이다. 지지대자가 고언을 거듭하는 이유는 불행한 승리, 실패한 당선자가 되지 말기는 바라는 마음에서다.
참다운 인물은 자기 선전을 하지 않아도 유권자들이 먼저 잘 알고 있다. 이 쓴 소리가 부디 마이동풍이나 우이독경이 아니되길 바란다. / 청 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