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성복지구개발 주민간 갈등

용인시 수지읍 성복취락지구 개발계획을 놓고 개발을 촉구하는 원주민과 개발계획 백지화를 요구하는 인근 아파트 입주민들 사이에 갈등이 증폭되고 있다.

용인시 성복리 인근 지역 이장 26명을 주축으로 구성된 ‘성복리 개발추진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공대위)’는 27일 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성복리 개발이 조속히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공대위는 “성복리 개발은 ‘선계획 후개발’의 모범적 사례”라며 “이같은 개발사업이 일부 아파트 주민들의 반발로 지연 또는 백지화될 경우 원주민들의 엄청난 재산상 피해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미 원주민들은 아파트 건설업체로부터 토지매각대금을 받아 다른 땅을 사거나 가족끼리 나눠쓴 상태”라며 “만약 개발이 백지화된다면 매각대금을 업체에 환불할 수 밖에 없어 채무자로 전락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개발추진 공대위는 “행정기관이 개발계획을 변경 또는 백지화할 경우 성복 취락지구내 1천여가구 주민들은 집단행동에 나설 것”이라며 “시와 도는 더 이상 지역 주민간 갈등을 유발시키지 말고 조속히 개발계획을 추진하라”고 촉구했다.

그러나 이에 앞서 지난달 9일 환경단체와 인근 지역 아파트 주민들은 ‘성복리 광교산 녹지보존 공동대책위원회(이하 광교산 공대위)’를 구성한 뒤 “광교산 녹지를 무차별 훼손하는 용인시 성복취락지구 개발사업계획을 적극 저지해 나갈 것”이라고 발표했다.

광교산 공대위는 “성복지구 개발사업계획은 실제 녹지비율이 7.5%에 불과한 반환경적 주택개발사업이며 계획대로 추진될 경우 보전가치가 높은 광교산 산림을 크게 훼손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광교산 공대위는 앞으로 주민 및 환경단체의 의견을 관철시키기 위해 광교산 식생 및 동·식물 조사와 광교산지키기 서명운동, 시민대회, 땅 한평사기운동 등과 함께 사업이 강행될 경우 집단행동도 벌여 나가겠다는 입장이다.

이같은 양측 주민들의 갈등속에 개발추진 공대위가 개발저지운동에 나선 주민들의 아파트단지 입구에서 다음달초 ‘아파트 입주민 각성 촉구 주민대회’를 계획하고 있어 자칫 주민들간 충돌까지 우려되고 있다.

한편 성복취락지구 개발예정지역은 용인시 수지읍 성복리, 상현리 일대 32만9천여평으로 오는 2005년 사업이 완료될 예정이다.

/최인진기자 ijchoi@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