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우리 사회는 모든 면에서 결코 가볍지 않은 몸살을 앓고 있다. 정치가 대북정책 등을 놓고 극도로 혼란스러워 국민들에게 불안감을 안겨주고 있고, 사회의 질서와 기강이 해이해지고 있는가 하면 경제전망 역시 신통치 못하다. 그렇다면 국가기간조직인 공직사회만이라도 기강이 확고하게 서있어야 할텐데 그렇지 못해 큰 걱정이다.
요즘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이 평일에 일상의 공무를 제쳐놓고 이천 여주 광주에서 열리고 있는 도자기 엑스포의 관광성 관람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도 그 사례의 하나다. 경기도내 31개 시·군 가운데 7개 시·군이 각각 하루에 70∼80명씩 4∼5회에 걸쳐 600∼700명의 공무원을 이미 보냈거나 관람시킬 계획이다. 나머지 지자체들도 구체적 일정만 잡혀있지 않았을 뿐 평일에 이들과 거의 같은 규모의 공무원들을 관람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물론 공직자라고 해서 도자기 관람을 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오히려 지역에서 벌어지는 세계적 문화축제에 역내(域內)공무원들의 참관은 필요하고 권장할 사안이다. 우리 전통의 도자기와 세계 각국의 도자기를 비교하고 각국의 도자문화를 접해 식견을 넓히는 것이 비난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 또 지자체별로 엑스포관람을 위로·사기진작 등 여러 목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나쁘다고만 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공직자 집단관람이 문제되는 것은 우선 관람일정이 적절치 않기 때문이다. 각 지자체마다 산적해 있는 현안 및 민원업무를 미뤄놓고 밀려드는 민원인을 헛걸음 치게 하면서 까지 주민의 공복이라는 공무원들이 평일에 혈세(관람료)를 써가며 떼지어 며칠씩 전시회에 가는 것은 문제가 있다. 더욱이 집단관람 나들이가 민선 지자체장들의 내년 선거를 앞둔 표심잡기라는 말이 공직사회 자체에서 나돌고 있으니 견학을 가장한 선심행사라는 비난을 받아 마땅할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지자체나 지방의회가 예산을 지나치게 낭비하는 데 대한 비판과 감시가 강화되는 추세다. 지자체 예산을 소모하고 업무공백을 유발하는 평일 집단관람은 중단해야 한다. 꼭 공무원이 원하는 관람이라면 예산낭비와 근무시간의 관광의혹을 없애기 위해 자비로 가야할 것이며, 업무지장과 민원인에 피해가 없도록 주말을 이용해야 할 것이다. 공직이 왜 공직인가를 스스로 깨달으며 행동해야 함을 강조해 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