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우차 부평공장과 협력업체

대우자동차의 GM 일괄 매입에서 제외된 부평공장은 어떻게든 회생시켜야 한다. 현지 소식은 부평공장 근로자들이 불확실성의 불안속에서나마 그래도 재기의 의욕을 다짐하고 있다고 전한다. 앞으로 본계약 체결에서 생산량을 얼마나 위탁받을 수 있느냐가 부평공장의 미래와 직결되므로 정부와 채권단은 지금부터 이에대한 각별한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또 협력업체에 대한 대책도 마땅히 수반돼야 한다. 매출부진 등 장기적 피해 우려속에 자금 사정이 상반기보다 악화된 가운데 가동률은 60%에 머물고 있다. 무엇보다 시급한 것은 대우차로부터 받지못한 정리채권 해결이다. 궁금한 것은 8천500억원에 이르는 정리채권의 책임소재다. GM이 인수하든지 아니면 대우차 매각대금으로 우선변제 해줄 것을 정부와 채권단에 요구하는 협력업체들의 주장에는 충분한 이유가 있다.

그것도 최대한 이른 시일안에 해결돼야 한다.

경영압박의 고통에 겹친 금리부담은 단 한달, 하루가 급박한 실정이다. 열심히 일해 부품을 납품해온 협력업체들이다. 대우차 부실과는 아무 상관도 없고 책임도 없는 이들이 어느날 갑자기 닥친 모(母)기업의 불행으로 선의의 피해를 입고 있다. 법률상으로나 사실상으로나 가장 먼저 구제받아야 하는데도 무작정 해결이 지연되는 것은 사리가 아니다. 정부와 채권단은 GM의 대우차 인수양해각서(MOU)에서 부평공장이 제외된 이상 부평공장의 장래를 하루빨리 정확히 해둬야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 부평공장 근로자들과 협력업체가 안정을 되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어제도 언급했지만 채권단 소유의 신설법인 설립, 채무조정, 법정관리 졸업의 수순을 명확히 가시화 하는게 급선무인 것이다.

일찍이 김대중 대통령은 “부평공장은 어떤 일이 있어도 반드시 살릴 것”이라고 다짐한 바가 있다. 대통령의 이같은 의지를 구현하는 관련부처의 후속 대책이 가장 절실한 시기가 바로 지금이다. 부평공장의 재기는 부평공장 및 협력업체의 고용안정 기반이 서야 가능하며, 이를 위한 미래의 가능성을 정부와 채권단이 제시해줄 책임이 있다. 대우차 부평공장은 GM의 대우차 인수가 문제해결의 종말이 아니고 문제해결의 새로운 시작인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