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경선이 성공하려면

지난 주말 민주당은 제주와 울산에서 오는 12월 대선에 출마할 후보자 선출을 위한 경선을 실시했다. 이번 주말에는 광주와 대전에서 역시 경선이 실시되며, 경기와 인천은 4월1일과 6일 각각 실시된다. 내달 27일 서울지역의 경선까지 50일간의 정치일정이 계속되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어느 후보가 최종 민주당 대선후보로 확정될 것인지 가늠하기 힘들다.

민주당 경선은 한국 정당사상 처음으로 실시되는 초유의 실험이다. 지난주 경선은 다소 잡음이 있기는 하였으나, 그러나 처음 실시된 경선으로서는 비교적 성공적이었다고 민주당은 자평하고 있다. 처음으로 실시된 전자투표도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더구나 민주당으로서는 각종 게이트 때문에 당에 대한 지지도가 하락하고 있는 시점에서 국민참여 경선을 통하여 유권자들의 관심을 유도한 것은 큰 성과일 것이다.

민주당의 국민참여 경선은 한국의 민주정치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성공해야 한다. 모처럼 국민적 공감대 하에 도입된 국민참여 경선이 단순히 모양만 갖추고 실시될 경우 이는 국민참여 경선의 의미도 퇴색할 뿐 아니라 정당정치 민주화를 위하여 불행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따라서 민주당의 국민참여 경선이 성공하기 위하여 최소한 다음과 같은 문제는 해소되어야 한다.

첫째 경선 참여자가 후보자에 의한 조직적인 동원 보다는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일시적인 조직 동원은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이는 금권선거를 초래할 가능성이 많다. 국민참여 경선이라는 이름만 빌릴 뿐 당원들만의 행사가 된다면 오히려 민주당에 대한 지지도는 하락할 수 있다.

둘째 경선이 지역대결 구도로 되어서는 안된다. 대통령 선거는 지역대표를 선출하는 것이 아니고 국가를 대표하는 지도자를 선출하는 것인 바, 출신 지역이 우선되어서는 안된다. 지난 주말 경선에서 이런 경향이 다소 나타났다는 것은 우려할 일이다. 참 다운 민주정당이 되기 위하여 지역주의는 한국정치의 유물이 되어야 한다.

셋째 금품선거가 되어서는 안된다. 정치자금을 불법으로 사용했다고 고해성사 한 김근태 후보가 현실의 벽을 넘지 못하고 사퇴하였다. 당 선관위가 금품을 제공한 후보에게 경고했으므로 더 이상 금품제공이 있어서는 안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