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전(發電)노조 파업이 오늘로써 32일째를 맞고 있으나 아직도 해결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사용자측은 지난 25일 복귀시한을 넘긴 파업 노조원들에 대한 해고 절차를 밟고 있으며, 노동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강경투쟁을 하고 있어 상황은 호전되기 보다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더구나 민주노총이 파업중인 발전 노조원들에 대한 해고조치를 철회하지 않으면 내달 2일 총파업하기로 결의했고, 한국노총도 오는 30일에 노동·사회단체와 연계하여 전국 동시 다발 민중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히고 있어 노동계의 춘투(春鬪)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현재 사측이 정한 시한에 복귀한 파업 노조원은 33%정도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사측은 긴급히 군 인력과 경력직 사원을 투입하여 부족한 발전요원을 보충하려 하고 있는데 과연 이런 대체 인력의 투입을 통하여 앞으로 예상되는 발전소 운영이 제대로 될 수 있을지 염려되고 있다. 고도의 숙련기술을 요하는 발전요원이 단기간의 교육을 통하여 투입되었을 때 예상되는 문제점도 결코 간단치만은 않다.
정부는 전력수급안정 대책을 통하여 비상시에 유흥업소의 전기 사용 제한과 송전차단 조치 등을 검토키로 하였다고 하나, 국민들은 언제 전기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할지 걱정이 크다. 현재 비수기라 다소 여유가 있을지 모르지만 벌써부터 생산현장에서는 발전중단이라는 비상사태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들리고 있어 정부는 더욱 철저한 비상대책을 강구해야 될 것이다.
발전노조는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야기될 전력공급 중단, 경제활동 위축, 월드컵 대회 등 각종 국제행사에 대한 대외 이미지 추락 등 비상 상황을 염려하는 국민들의 걱정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라도 우선 직장에 복귀, 발전소 운영을 정상화 시켜 놓고 투쟁하기를 요구한다. 국민의 여론에 등을 돌리게 되면 아무리 명분 있는 노조투쟁이라도 결코 성공할 수 없음을 인식해야 한다.
정부 역시 강경책만이 능사가 아님을 인식하고 파업 노동자의 해고를 최소화하고 또한 해고절차도 단계적으로 추진해야 된다. 노조가 조건 없는 대화를 요구하고 있으니 유연한 자세로 대화를 통하여 사태해결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파업의 장기화로 노사 모두가 패배자가 되기 전에 대화로 문제를 풀기 바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