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정 협상타결 이모저모

○…1일 오후 7시부터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 2400호 객실에서 이날 오전 5시까지 밤샘 릴레이 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한 노정 협상단은 민노총 연대 총파업 예고시간을 2시간 남겨둔 오전 11시께 같은 장소에서 다시 만나는 등 긴장된 분위기가 계속.

그러나 노측에서는 민주노총 이홍우 사무총장 등 3명, 정부측에서는 노동부 김원배 기획관리실장 등 3명이 나선 노·정 협상은 “2002년 3월8일 중앙노동위 중재재정을 존중해서 발전소 매각문제는 논의대상에서 제외한다”내용에 의견접근을 이루면서 급진전.

○…당초 오후 1시30분께로 고지됐던 노·정 공동기자회견은 양측의 뚜렷한 설명없이 지연됐고, 노측에서 “다시 일이 꼬였다”는 얘기가 흘러나오면서 진통이 거듭.

상급단체인 민주노총에 협상권한을 위임했던 발전노조 집행부 일각에서 합의문내용에 대해 반발, 민주노총측이 노조 집행부를 설득하는데 한때 진땀.

○…이날 노조 집행부내 강경파 조합원은 “합의문은 항복문서”라며 받아들일 수 없다고 반발하기도 해 노측 협상대표단에 참여한 나상윤 공공연맹 기획국장 등 2명이 명동성당으로 직접 찾아가 합의문 설명과 집행부 설득에 나서기도.

○…명동성당 농성 노조 집행부는 노·정 합의문에 대한 수용여부를 놓고 갑론을박을 벌였으나 강·온 양론으로 의견이 계속 엇갈리기도.

특히 노정 합의문을 놓고 “36일동안 투쟁해서 채택한 합의문에서 얻은 것이 없다”며 합의문 수용거부 주장을 펼치는 강경론이 제기되는 가운데 온건론자들은 “투쟁 동력이 다소 떨어진 것도 사실인만큼 지도부의 합의결정에 따르자”는 견해를 피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