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은 4·27 전당대회를 통해 노무현 후보, 한화갑 대표 체제를 공식 출범시켰다. 최고위원 선출에서 개혁파 득세, 동교동계 소침이 두드러진 게 이번 전당대회의 특징이다. 영호남 통합과 개혁성향의 외양을 일단 갖추었다. 그러나 앞길은 험난하다.
첫째, 투톱 체제의 관계다. 한 대표는 ‘후보 중심의 당 운영 방침’을 밝혔다. 그러나 갈등의 소지가 다분하다. 노 후보는 정권 재창출을 내세워 사실상 당을 주도하려 들 것으로 보인다. 후보 다듬기나 대야 관계에 사조직 캠프와 당 공조직간의 조율이 결코 원만치만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노 후보가 사조직을 완전해체 하지 않는한 필연적이다. 특히 YS 민주계 등 과거 민주화 세력이 헤쳐 모이는 ‘신민주연합’의 노후보 정계개편 구상을 막상 당이 어떻게 받아들일지 궁금하다. 정계 개편 과정에서 후보는 기득권 포기를 당에 요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둘째, 김대중 대통령과의 관계 정립이다. 노 후보는 “DJ와 의리를 저버리는 천박한 차별화는 하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의리란게 ‘김심’에 대한 보은인지 이념적 승계인지는 잘 알 수 없다. 그러나 그같은 말은 DJ 조기 탈당의 불가피성을 시인하면서도 그야말로 의리상 체면치레로 한 것일 수 있다. 그렇게 보는 객관적 시각이 많다. 민주당 지지율이 근래 대통령 아들들을 비롯한 권력형 비리의혹 심화로 한동안 상승 추세이던 게 급격히 떨어지고 있다. 이는 후보의 부담이면서 또 당의 부담이 되기도 한다. 12월 대선에 앞서 6·13 지방선거에 이어 국회의원 8월 재·보선이 있다. 이런 중간선거를 앞두고 후보와 당이 대통령과의 관계를 어떻게 정리해 보일 것인지가 주목되는 또 하나의 과제다.
셋째, 경선 및 지방선거 후유증이다. 이인제 전 경선 후보는 중도 사퇴후 독자노선 모색 의지를 이미 밝힌바가 있다. 그를 후보와 당이 무슨 카드로 붙잡아 둘 것인지 궁금하다. 만약 노 후보의 정계 개편 구도가 이인제 전 경선후보가 주장한 중도보수 개혁 노선과 크게 차이가 날 땐 탈당의 빌미가 될 수 있다. 경선 후유증은 지방선거에 영향을 미치고 6·13 지방선거 결과는 노 후보와 당에 결정적 변수요인이 된다.
민주당의 신출범은 민주정당의 면모를 과시하는덴 일단 성공했다. 앞으로의 난관 타개는 당이 국민에 대한 후보검증을 통해 ‘개혁과 통합의 정치’실체가 무엇인가를 분명하게 밝히는 데서부터 시작돼야 할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