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산댐만이 아니다. 임진강도 북측의 임진강댐, 즉 ‘4월5일 발전소 1호댐(내평댐·저수량 2천만t)과 2호댐(장안댐·〃 770만t)의 위협을 받고 있다. 본란은 지난해 5월부터 금강산댐과 4월5일댐의 위협에 대한 대책을 일관되게 제기해온 바가 있다. 북측 공식 명칭으로는 임남댐인 금강산댐 저수량은 9억t으로 춘천댐의 약6배다. 정부는 금강산댐의 누수 및 붕괴에 대비키 위해 정권안보의 정략화로만 단정, 흉물시 해온 평화의 댐 보수를 서두르는 등 뒤늦게나마 대책을 세우고 있으나 근본적인 것은 못된다. 왜냐하면 홍수피해만이 있는게 아니고 갈수피해를 포함한 양면이 있기 때문이다.
금강산댐 준공이후 북한강 수위가 현저히 줄었다. 화천댐 유입량이 한동안 초당 40t에서 7.6t까지 준적이 있다. 이 때문에 붕어 메기등 물고기가 감소되는 생태계 변화까지 일고있다. 임진강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4월엔 연천군 선남면 등 중상류가 상당기간 바닥을 드러내고 지류인 연천군 연천읍 고문리앞 한탄강이 말라 붙기까지 했다. 반면에 지난해 10월에는 때 아닌 홍수가 나 고깃배가 떠내려 가는 등 3억원 상당의 어민 피해를 냈다. 금강산 물은 45km의 터널수로로 동해안 안변청년발전소로 보내면서 농업용수 등으로 사용하며, 4월5일댐 역시 터널 수로를 통해 황해북도 농업용수의 주요수원으로 쓰고 있다. 임진강과 북한강은 두말할 것 없이 경기지역의 각종 용수 및 환경 생태계에 절대적인 비중을 차지한다. 그런데도 이같은 양대 강이 북측 두댐의 위협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채 간과 돼왔다. 당국은 연천군 군남면에 임진강 홍수조절보를 내년부터 착공해 2008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라지만, 이 역시 홍수대응은 될지 몰라도 갈수대책은 아닌 반쪽대책에
불과하다.
근원적인 대책은 남북공동치수사업이다. 정부가 북측에 금강산댐과 임진강 수계의 공동조사를 제의키로 한 것은 적절한 착안이긴 하나 문제는 실천에 있다. 임진강의 경우, 5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지난해 10월28일부터 31일까지 4일간 일정으로 남북공동수방사업을 위한 현지조사를 갖기로 했으나 이행되지 않고 있다. 오는 7일부터 10일까지 서울서 열리는 2차 남북경협추진위원회에서 이의 구체적 실천방안을 도출해내는 것이 급선무다. 북측이 자연자원을 무기화 한다는 비난을 듣지 않으려면 성의있는 자세로 나와야 한다. 아울러 정부 또한 북측을 자극할 우려가 있다고 보는 소아병적 심리로 더 이상 무작정 우물쭈물 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