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전 11승 11무 10패.
지난해 1월 거스 히딩크 감독이 부임한 이후 한국축구대표팀이 거둔 A매치 성적표다.
26일 세계 최강 프랑스와의 평가전까지 희망과 절망사이를 숨가쁘게 오갔던 대표팀은 “내가 선택한 길이 옳았다”는 히딩크 감독의 자신에 찬 한마디와 함께 전선에 섰다.
지난해 1월말부터 2월초까지 이어진 홍콩 칼스버그컵과 두바이컵(카이로)은 히딩크 감독이 한국축구를 파악했던 시기.
수비전형에서 리베로 시스템을 버리고 선진축구의 대세인 ‘一’자 포백을 도입한 히딩크 감독은 이 시기에 치른 5차례 평가전에서 1승2무2패의 성적을 거둔 가운데 노르웨이, 덴마크 등 유럽팀에게 연패하면서 한국축구의 현주소를 체감했다.
포백 수비 대신 스리백으로 일시 전환해 나선 4월말 LG컵에서 이란과 이집트를 연파하며 우승, 자신감을 갖게 된 히딩크호는 5월말 컨페더레이션스컵에서 첫번째 시험대에 올랐다.
이 대회에서 한국은 멕시코와 호주를 꺾고 조별리그에서 2승을 거뒀지만 프랑스에 당한 0대5의 대패가 쓰라렸다.
한국과 세계 축구간의 격차를 체험하며 히딩크 감독은 8월 유럽전지훈련을 통해 새롭게 출발대에 섰다.
한국은 8월15일 체코전에서 또 한번 0대5의 참담한 패배를 맛봤고 9월 주전이 대거 빠진 나이지리아와의 두차례 평가전(1승1무)에서도 부진한 경기를 했지만 히딩크감독은 자기축구에 맞는 재목을 추려내는 중요한 시기를 보냈다.
그리고 일대 전환점이었던 10월 대구전지훈련에서 약 30명 선으로 추려진 대표팀은 ‘一’자 스리백을 주 전형으로 확정지은 가운데 수비가 안정을 찾았고 공격-미드필드-수비간의 거리를 좁히는 ‘컴팩트사커’에 적응하기 시작한 결과, 11,12월 4차례 A매치에서 ‘반짝 성장세’를 일궈냈다.
11월 세네갈에 대등한 경기속에 0대1로 패했지만 자신감을 얻은 한국은 98년 월드컵 3위팀인 크로아티아에 1승1무를 거뒀고 본선상대로 정해진 미국과의 평가전에서도 1대0으로 승리, 16강 서광을 비추게 했다.
그러나 올 1,2월 골드컵을 포함한 미주원정에서 대표팀은 2무4패의 참담한 성적표 속에 6경기에서 고작 4골을 뽑는 골가뭄을 겪으면서 국민들에게 큰 좌절감을 안겼다.
그러나 한번 바닥을 친 대표팀은 3월 유럽전지훈련에서 치른 세차례 평가전(1승2무)을 통해 홍명보라는 수비의 핵을 다시 찾아 무실점 행진을 이어가며 극적으로 회생했다.
홍명보, 최진철, 김태영이 구축한 탄탄한 수비진과 윤정환, 안정환이 가세하면서 날카로움이 더해진 미드필드라인, 황선홍의 부활 등 대표팀은 몇가지 희망의 단서를 발견했다.
이어 줄줄이 열린 A매치에서 대표팀은 하루가 다르게 달라진 모습을 보이며 무모할만큼 체력강화에 집착했던 히딩크 감독의 길이 결국 옳았음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세계적인 수준의 체력과 압박능력을 갖게 된 대표팀은 4월20일 코스타리카에 2대0으로 완승을 거뒀고 4월27일 중국과 득점없이 비기긴 뒤 지난 16일 스코틀랜드를 4대1로 대파, 상승기를 맞이하기 시작했다.
한국대표팀의 자신감 앞에 세계최강 잉글랜드와 프랑스도 식은 땀을 흘려야했다.
한국은 지난 21일 종가 잉글랜드와 맞서 조금도 물러서지 않는 압박능력을 보이며 1대1 무승부의 개가를 올렸고 26일 프랑스를 맞아 막판 대공세 앞에 2대3으로 재역전패했지만 날카로운 배후침투와 세트플레이로 2골을 잡아내 챔피언의 간담을 서늘하게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