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지방선거에서 특히 지방의원 입후보자들을 감별하는 세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학력이다. 학력이 높고 낮음을 가리는 게 아니고 속이는 것을 가려내는 것이다. 초·중고·대학을 거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면 제대로 대학원을 나온 사람이다. 그러지 않고 대학은 나온 흔적 없이 ‘○○대학원’이라 하여 마치 대학원을 나온 것처럼 학력을 꾸민 건 다
가짜다. 대학이 대학원에 개설, 아무나 돈만내면 수강이 가능하고 강의를 제대로 받았든 안받았든 기간이 차면 이수증을 주는 무슨무슨 단기코스 강좌 이수는 대학원 졸업이 아니다.
대학원은 또 원래 석사 박사의 학위기관이지 학력기관은 아니다. 교육법이 규정하고 있는 최고 학력기관은 어디까지나 대학이다. 대학을 안나오고 고등학교만 나온 게 흠이 될 수는 없다. 아니 고등학교도 못나오고 중학교나 초등학교만 나왔다 한들 지방의원 감이 못되는 건 아니다. 문제는 인품이다. 학력을 속이려 드는 후보자보단 저학력을 당당히 내세울 줄 아는 후보자가 더 미덥다.
둘째는 세금을 낸 사람이냐, 아니냐 하는 것이다. 부동산 투기를 일삼은 졸부들 치고 세금을 제대로 낸 사람이 드물다. 자신의 재산만큼 자신의 벌이만큼 세금을 꼬박꼬박 낸 사람이어야 지방선량의 자질을 갖췄다 할 수 있다.
셋째는 생업이 뚜렷한 사람이어야 한다. 명함이나 유인물에 각종 직함이 빽빽히 늘려 있으면서도 직업이 도대체 뭔가 알 수 없는 경우가 허다하다. 허황한 직함만 장황하게 나열한 것 보다는 직함이 많지 않아도 내실있는 직함을 내세운 사람에게 더 신뢰가 간다. 아울러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의 생업, 즉 미미한 생업일지라도 직업을 그것도 구체적으로 밝히는 꾸밈이 없는 후보자를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
단체장 후보자들은 소속 정당이 있고 대부분 널리 알려진 사람들이다. 또 광역의원들은 누군지 잘 몰라도 정당을 참조하는 수가 있다. 그러나 기초의원들은 정당도 이력사항도 잘 몰라 유권자의 판단이 잘 서지 않는 수가 많다. 이런 경우에 이상 예시한 세가지 기준을 비추어 보는 것도 판단에 참고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白山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