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축구 2002 삼성 파브 K-리그에서 유난히 무승부 경기가 많이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승패를 봐야 직성이 풀리는 한국축구팬들의 흠미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각 팀이 비기기 위한 수비축구를 하기 때문이 아니라 각 팀의 컬러가 공격적으로 바뀐데다 10개구단의 꾸준한 전력 상승으로 평준화된 데서 나온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지난 28일까지 끝난 34경기중 16경기(45%)가 승패를 가리지 못한 채 90분 종료 휘슬이 울렸다.
이는 지난해 K-리그 135경기중 48경기(35%)가 무승부였던 것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인은 승패를 봐야만 재미를 느낀다’는 통설을 깨면서 올 시즌 축구팬들의 흥미를 이어가는 것은 한 골이라도 리드하면 속칭 ‘잠그기 축구’로 수비를 강화하던 종전의 스타일을 버리고 더욱 공격적인 플레이로 팬들을 매료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전력 평준화로 ‘지키기 게임은 곧 패배’라고 인식한 구단들은 앞서고 있으면서도 좀더 많은 골을 넣어 승리를 굳히기 위해 안간힘을 쓰며 뒤지고 있는 경우에는 만회골 내지는 역전골까지 뽑아내기 위해 애쓰다보니 서로의 헛점이 더 많이 노출되고 있다.
한여름 무더위를 잊을 정도로 많은 골이 터지는 것도 이 덕분.
팀별로도 울산이 5무승부, 안양 LG와 성남 일화, 전북, 대전이 각각 4무승부, 수원 삼성을 비롯한 포항, 전남이 3무승부를 기록하고 있어 공격적인 스타일을 구사하는 팀들이 비기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