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山
미국이 부시 대통령 취임후 많은 욕을 얻어먹고 있다. 부시의 일방외교로 반미감정이 지구촌에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교토기후협약 비준거부(2001년 3월), 수입철강 제품의 보복관세 발동(2002년 3월)에 이어 지난 6월에 아라파트 축출발언으로 EU 및 아랍권 반발을 사는가 하면 탄도탄요격미사일(ABM) 협정 탈퇴, 해외주둔 미군의 국제형사재판소(ICC) 거부 등 잇따라 유아독존의 오만을 드러냈다. 요즘은 테러 위험국에
핵선제공격 불사도 공언하고 있다.
동맹국이나 유엔과의 협의를 무시, 국제법 위에 군림하고 무역정책은 자국 이익만 추구하는 것으로 국제사회에 소문이 났다. 지난 7월에는 뉴욕 타임스와 워싱턴 포스트까지 부시의 일방외교 정책을 비판, 반미감정의 세계적 확산을 경고했다. 미국의 민간외교단체인 외교협회(CFR)도 반미감정 확산에 우려를 표시하고 이미지 개선을 위한 기구 설치등 7개항의 대책을 제시했다.
이번에 최악의 물난리를 겪은 중부유럽 여러 국가들이 미국에 지겨웠던 비만큼 빗발치는 비난을 쏟았다. 400만명의 이재민을 낸 독일은 유럽 최대의 미술품 소장을 자랑하는 츠빙거궁이 물에 잠기는 등 체코, 오스트리아, 슬로바키아, 헝가리로 수해가 확산돼 100여명이 숨지고 많은 문화 유적지가 손실을 입은 것이다. 특히 프라하 등에서 유실된 중세 유적은 유네스코에 등록된 세계 문화유산이 적잖다.
독일을 비롯한 이들 나라는 이같은 대홍수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면서 교토의정서를 탈퇴한 미국의 책임으로 집단 성토했다. 미국은 전세계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28%를 차지하는데도 부시는 자국의 산업보호 이유를 들어 지구온난화 방지협약인 교토의정서를 탈퇴했기 때문이다. 그의 오만은 초강대국의 횡포로 이어져 정의의 개념마저 제멋대로 재단되고 있다. 9·11 테러도 부시의 오만이 자초한 것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의정부에서 우리의 여중생 2명을 미군 장갑차로 치어 죽이고도 재판권을 넘기지 않은채 좀처럼 사과할 줄 모른 미군의 오만 역시 부시의 영향이 없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천방지축으로 설치는 부시를 보노라면 흡사 자신이 법임을 자임하는 서부시대의 망나니 총잡이를 연상한다. 거기에 오기까지 고집불통일만큼 세어 자국 여론의 비난에도 여름휴가를 한달이나 보내고 있다. 휴가야 또 그렇다지만 CFR의 충고마저 외면하는 실정이다. 부시가 이끄는 미국이 어디로 갈 것인지 미국의 장래가 걱정스럽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