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하의 외곽단체장 인사가 마무리 돼가고 있다. 그간 지역사회의 큰 관심 속에 정중동으로 잠겨 있었던 뚜껑이 열리기 시작했다. 손학규 경기도지사의 인사를 둔 신중성은 곁에서 지켜보는 이들이 오히려 답답해 할만큼 무거운 장고(長考)였다. 그 결과는 역시 객관성을 지닌 인사라는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거물급 인사(人士)인 점은 신선한 충격이다. 거기 에 전문성까지 겹쳤다.
오국환 경기지방공사 사장은 한국토지공사에서 부사장까지 지낸 토목건설 전문가다. 공채 1기로 들어가 평생을 몸바쳤다. 토공 사장을 해도 벌써 했어야 할 것으로 알고있다. 송태호 경기문화재단 대표이사는 언론계 출신으로 문화체육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앞서 전 과학기술처 차관의 한정길 중소기업센터 사장, 전 인천시 정무부시장의 이철규 경기개발원 원장 등 기용도무난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인사요인은 아직도 남아있긴 하다. 하지만 손지사의 고뇌에 찬 지금까지의 흔적으로 미루어 앞으로의 인사 역시 일단은 믿어도 될 것 같다.
이번 인사의 기용엔 물론 지사의 친면이 크게 작용했을 것이다. 친면이 있다는 것은 사람을 그만큼 잘 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선거와 무관했던 이도 있지만 선거에 도움을 준 이도 있다. 그러나 이런 것이 인사의 적정성을 해쳤다고는 판단되지 않는다. 예컨대 친면이 있고 선거에 도움을 준 이는 실로 허다할 것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선에 있다. 인사의 요체인 업무수행의 감당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 이 점에서 국정 운영 또는 중앙 무대의 풍부한 경험을 살려 지역사회 기여에 기념비적 공로가 있을 것을 기대하고자 한다. 경기도 개발이나 기전문화는 단순히 도내 문제에 국한하지 않는다.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전반의 기능을 수반하는 광역화의 특이성을 갖고 있으므로 하여 중앙의 경험 접목이 큰역할이 되는 것이다. 지방자치는 또 지역의 폐쇄성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넓은 안목을 지닌 지방자치가 미래지향적인 참다운 지방자치로 보아 손지사의 과감한 영입인사를 긍정적으로 본다.
인사행정의 접근엔 실효성 중심의 능률적 접근과 민주성 중심의 인간적 접근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이는 미국같은 데선 행정의 양대 지도 이념으로 확립돼 왔다. 손지사의 인사방침이 바로 이런 소신으로 관측하면서 적정성과 객관성을 계속 살리는 인사가 있게 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