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초78.
팀 몽고메리(27·미국)가 15일 육상 100m에서 3년간 묵어있던 세계기록을 0.01초 앞당기자 과연 인간은 얼마나 더 빨리 달릴 수 있을 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세계기록은 지난 68년 짐 하인즈(미국)가 9초95로 처음으로 10초 벽을 깬 이래 신발과 경기복, 트랙, 훈련방법 등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앞당겨졌고 지난 99년 모리스 그린(미국)이 9초79를 기록하면서 한계라고 여겨졌던 9초80의 벽도 넘어섰다.
하지만 이후 3년간 그린을 비롯해 단 한명도 다시는 9초80에 진입하지 못해 이것이 인간 한계가 아닌가하는 분석도 나왔었다.
다만 전문가들이 기대를 건 것은 이미 장비에 있어서는 완벽에 가깝게 발전했기때문에 기록 경신을 위해서는 스타트에서 기록을 줄여야 한다는 것이었고 몽고메리는 이를 그대로 증명했다.
몽고메리는 부정 출발로 간주되는 출발반응시간인 0.1초에서 불과 0.004초 뒤인0.104초만에 스타트 블록을 치고 나갔다.
또한 뒷바람도 기록 공인의 한계치인 초속 2m로 불어 기록 경신을 도왔다.
만약 그린이 9초79를 기록할 당시 이와 같은 환경에서 뛰었다면 기록은 9초77이하였을 것이라는 분석이 가능해 ‘하늘’이 돕는다면 또 다른 기록도 조만간 나올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얻고 있다.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단거리 훈련의 초점이 빠른 스타트에 필요한 하체 근육강화에 맞춰져 있는 가운데 기록 단축을 낙관하는 또 다른 이유는 그린의 독주였던 단거리가 몽고메리와 드웨인 챔버스(영국) 등에 의해 춘추 전국 시대로 재편돼 서로를 자극하고 있기 때문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